이억원 기재차관, 한국판 뉴딜 자문단 회의 주재
이억원 기획재정부 1차관이 15일 “디지털 뉴딜 프로젝트에 2025년까지 총 58조원 이상을 투입해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겠다”고 말했다.
이 차관은 이날 HJ비즈니스센터에서 화상으로 열린 ‘한국판 뉴딜 자문단 디지털뉴딜 분과 제4차 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이같이 밝혔다.
정부는 지난해 추가경정에산 2조4000억원과 올해 예산 7조7000억원을 바탕으로 ‘데이터 댐’ 사업과 제조 현장 스마트 공장 구축·고도화 지원 등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민간 디지털 혁신을 촉진을 위한 규제 혁신과 제조 정비도 추진 중이다. 정보통신기술(ICT) 규제 샌드박스 실증특례 적용과 4차산업혁명위원회를 확대 개편해 범국가 데이터 거버넌스 역할을 수행하도록 했다.
이 차관은 회의에서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민간과 긴밀히 협력해 대응 방안을 마련하겠다”며 “차세대 인공지능(AI) 반도체·초고속컴퓨팅·미래 모빌리티 등 핵심 전략기술을 선제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 연구개발(R&D) 투자를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민간 수요가 높은 핵심 데이터를 선제적으로 구축·개방하고 제조·보건·금융 등 개별 운영되는 데이터 플랫폼을 데이터 통합 지도로 통합 구축해 접근성을 높이겠다”고 강조했다.
올해 하반기 금융·공공분야를 시작으로 마이데이터 시대를 본격적으로 열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마이데이터는 정보 주체가 본인의 정보를 적극 관리·통제하고 이를 신용·자산·건강관리 등에 능동·주도적으로 활용하는 개념이다.
이 차관은 “국민의 데이터 주권을 높이고 동시에 데이터 흐름을 더욱 자유롭게 하는 마이데이터가 디지털 시대 새로운 먹거리가 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정책형 뉴딜펀드와 스마트대한민국펀드, 지역뉴딜 벤처펀드 등의 차질없는 추진과 함께 디지털 혁신을 주도하는 유망 스타트업·벤처기업 육성에도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다.
이 차관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이어지면서 기존에 경험해 보지 못한 속도로 경제 사회 전반의 디지털 전환이 이뤄지고 있다”며 “정부는 변화를 선도하는 국가로서의 디지털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더욱 매진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