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가격 쏠림으로 잠재 취약성↑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이후 일명 ‘빚투(빚내서 투자)’ ‘영끌(영혼가지 끌어모아투자)’로 중장기적 금융안정리스크가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주식 및 부동산 시장의 수익추구 성향 강화로 자산가격 급등 및 신용축적 지속에 대한 경계감을 더욱 높일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22일 한국은행은 ‘2021년 6월 금융안정보고서’를 통해 “금융안정지수(FSI)로 포착됐던 코로나19 이후의 금융불안 상황은 적극적인 정책대응, 경제회복 기대 등에 힘입어 안정화됐으나, 금융취약성지수(FVI)로 평가한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잠재적 취약성은 코로나19 이전보다 더욱 확대됐다”고 밝혔다.
현재 금융안정 상황 평가에 활용되는 FSI는 금융시장 가격변수와 경제주체 심리 변화로 나타난 금융불안을 빠르게 포착한다. 그러나 장기적 금융불안 요인의 식별에는 다소 미흡해 주요국 중앙은행 및 국제기구를 중심으로 FVI를 신규 편제하고 현 금융안정 상황을 평가하고 있다.
지난 1분기 FVI는 58.9로 코로나19 위기 이전인 2019년 4분기 대비 17p 상승했다. FVI는 금융불균형 정도와 금융기관 복원력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대내외 충격 등에 대한 금융시스템의 취약성을 측정하는 지수이다. FVI가 상승하면 금융불균형 누증, 금융기관 복원력 약화 등으로 금융시스템의 구조적 취약성이 심화, 대내외 충격 발생시 금융·경제에 초래될 부정적 영향의 크기가 확대될 수 있는 상황을 의미한다.
평가요소별로는 금융기관 복원력이 양호한 모습이나, 신용축적 총지수가 소폭 상승하고 자산가격 총지수는 빠른 상승세를 시현했다. 주식 및 부동산 시장으로 자금이 쏠리면서 자산가격 총지수(91.7)는 1997년 외환위기(93.1) 및 2007년 글로벌 금융위기(100.0) 최고점에 근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