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물 부족 이어지면서 전셋값은 高高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 상승률이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와 폭염, 휴가철 등의 영향으로 소강상태 보이면서 다소 둔화됐다. 하지만 중저가 아파트가 많은 서울 노원, 도봉, 금천, 구로 등을 비롯해 GTX와 신분당선 교통 호재가 있는 평촌과 수원 등은 강세를 이어갔다.
16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금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09% 올랐지만 전주대비 상승폭은 축소됐다. 재건축 아파트가 0.07%, 일반 아파트는 0.09% 올랐다. 경기ㆍ인천과 신도시는 각각 0.08%, 0.05% 상승했다.
서울은 9억원 이하 중저가 밀집 지역이 상승세를 견인했다. 지역별로는 ▲노원(0.32%) ▲도봉(0.21%) ▲금천(0.19%) ▲구로(0.15%) ▲서대문(0.14%) ▲강동(0.13%) ▲중랑(0.12%) ▲강서(0.11%) ▲관악(0.11%) 순으로 올랐다.
신도시는 ▲평촌(0.13%) ▲분당(0.07%) ▲동탄(0.06%) ▲위례(0.05%) ▲중동(0.04%) ▲판교(0.03%) ▲일산(0.02%) ▲산본(0.02%) 등이 상승했고 반면 김포한강(-0.11%)은 거래부진을 겪으며 하락했다.
경기ㆍ인천은 교통망 확충 호재가 있는 지역과 저평가 지역이 가격 상승을 이끌었다. 지역별로는 ▲수원(0.19%) ▲의왕(0.17%) ▲오산(0.14%) ▲이천(0.14%) ▲안성(0.12%) ▲용인(0.11%) ▲평택(0.11%) 등이 올랐다.
전셋값은 매물부족으로 서울이 0.09%, 경기ㆍ인천은 0.06%, 신도시는 0.02% 올랐다.
서울 전세시장은 ▲구로(0.21%) ▲강동(0.18%) ▲노원(0.17%) ▲관악(0.15%) ▲서대문(0.14%) ▲용산(0.13%) ▲금천(0.11%) ▲동작(0.11%) ▲강서(0.10%) ▲성북(0.10%)등이 올랐다.
신도시는 ▲위례(0.09%) ▲평촌(0.08%) ▲동탄(0.04%) ▲김포한강(0.04%) ▲일산(0.03%) ▲중동(0.03%) 등이 올랐다. 분당(-0.02%)은 최근 3개월여 동안 4000가구가 공급된 여파로 전셋값이 소폭 내렸다.
경기ㆍ인천은 ▲의왕(0.15%) ▲이천(0.13%) ▲안성(0.12%) ▲파주(0.11%) ▲구리(0.10%) ▲하남(0.09%) ▲광명(0.08%) ▲시흥(0.08%) 등이 올랐다.
임병철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3기신도시 등 사전청약이 본격화되면서 주택 수요자들의 불안심리를 일부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사전청약 물량 중에서 신혼부부가 대상인 신혼희망타운과 신혼부부 특별공급 물량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 시장의 주택수요를 모두 충족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청약 가점이 낮은 수요자의 경우 교통망 호재가 있거나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지역의 기존 아파트시장에 유입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