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간담회에서 당내 적통경쟁 비판
"피를 따지는 건 현대 민주주의에 안 맞아"
"지지율에 일희일비 안해…결국 사필귀정"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16일 더불어민주당 내 '적통 경쟁'에 대해 "가능하면 국민 주권주의, 당원 중심정당이라는 취지에서 벗어나는 말씀은 안 하면 좋겠다"고 지적했다.
이 지사는 이날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통(統) 이런 거는 왕세자 정할 때 나오던 이야기"라며 "왕비의 자식이냐 궁녀의 자식이냐, 아니면 민가의 종의 자식이냐 이런 거 따지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그는 "옛날엔 적자 서자 얼자 세 종류가 있었고 차별도 많았다"며 "지금은 민주당 당원 누구나 민주당 대표가 될 자격이 있다. 그런데 그중에서 피를 따진다, 이건 현대의 민주주의에 맞지 않는다. 좀 서글프다"고 밝혔다.
이는 최근 이낙연 전 대표와 정세균 전 국무총리 등 당내 경쟁 후보들 사이에서 가열되고 있는 '적통론'에 대한 비판적 발언으로 풀이된다.
이 지사는 최근 이낙연 전 대표의 지지율 상승에 대해 "우리 지지자들이 옮겨갔다기보다는 그쪽에 새 지지자가 좀 붙은 느낌"이라며 "한때 40%의 지지를 받던 분 아닌가. 그게 일부 복원되는 게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이어 "큰 강물이 흘러갈 때의 파도 같은 거다. 올라가기도 내려가기도 하는데, 일희일비하면 사람이 이상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또 2017년 민주당 대선 경선을 언급하며 "제가 똑같은 걸 겪어봤다. 어느날 갑자기 지지율 2~3% 하다가 갤럽 기준으로 18% 오르고, 문재인 대통령과 3~4%p 차이밖에 안 나니까 갑자기 가슴이 벌렁벌렁해지면서 내가 될 수 있는 거 아닌가 오버를 했다. 결과적으로 아주 안 좋은 상황이 됐다"고 돌이켰다.
그는 "지지율 떨어지는 것도 순간이더라"며 "제가 잘하는 걸 보여주면 결국 사필귀정하지 않겠나. 할 수 있는 일을 최대한 잘하고 결과는 하늘에 맡기는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이 지사는 '지도자의 품격'을 강조하는 이낙연 전 대표를 겨냥한 듯 "대통령은 지도자보다 일꾼을 뽑는 자리"라며 "실력이 없는데 멋있긴 한 사람과, 멋은 좀 없어도 실력이 있는 사람 중 누구를 뽑겠느냐. 결국 (공직자는) 남인데 내 일을 대신해주는 사람"이라고 강조했다.
나아가 '대통령이 되면 야권 인사를 기용할 의사가 있느냐'는 질문에는 "제가 10년 넘게 공직을 경험하고 경영·심리·조직·전술·병법·역사 등을 많이 보고 낸 결론은 사람을 잘 써야 한다는 것"이라며 "능력이 우리보다 저기가 낫다면 저쪽을 쓰는 거다"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저는 사람과 진영을 가리지 않고 최대한 많이 쓸 생각"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