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탈원전 정책 모순 논란 일자…靑 "서로 윈윈하는 방법" 수습


입력 2021.11.04 13:39 수정 2021.11.04 13:39        고수정 기자 (ko0726@dailian.co.kr)

헝가리 대통령 "원전 없이 탄소중립 불가능…양국 공동 의향"

靑, 기조 충돌 지적에 "신규 건설 안 하지만 상당 기간 가동"

헝가리를 국빈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3일(현지시간) 헝가리 부다페스트 대통령궁에서 야노쉬 아데르 헝가리 대통령과 공동언론발표를 하고 있다. ⓒ청와대

헝가리를 국빈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과 아데르 야노시 헝가리 대통령이 원전 정책을 놓고 상반된 입장을 내놓으면서 논란이 되고 있다. 아데르 대통령이 '탈(脫)원전'을 추진하고 있는 문재인 정부의 기조와 달리 "탄소중립은 원전에너지 사용없이 불가하다"며 이는 '양국의 공동 의향'이라고 밝히면서다.


아데르 대통령은 전날 문 대통령과 정상회담 직후 가진 공동언론발표에서 "원전 에너지 사용 없이는 탄소중립이 불가하다는 것이 양국의 공동 의향"이라고 발표했다. 아데르 대통령은 이어 "원전 외에 한국은 풍력, 헝가리도 한국과 동일하게 태양열 기반의 재생에너지 정책을 강화하고 싶으며 이에 대한 이야기를 했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같은 자리에서 원전과 관련한 언급 없이 "양국 정상은 제26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논의한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의견을 나눴다"는 등의 발언만 했다.


이를 두고 문재인 정부의 '탄소중립'과 '탈원전' 정책 간 모순점이 극명하게 드러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논란이 커지자 청와대는 "서로 윈윈하는 방법"이라고 해명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3일(현지시간)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기자들과 만나 "(문 대통령은) 2050년 탄소중립까지도 원전의 역할은 계속된다는 입장"이라며 "다만 신규 원전 건설은 하지 않겠다는 입장이고, 그리고 또 설계수명이 다한 원전은 이제 폐쇄한다는 입장이지만 앞으로도 상당 기간 실제로 원전을 통한 전기발전이 있을 것이고, 우리가 개발한 기술이나 노하우는 전 세계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2050년 탄소중립까지 원전의 역할은 계속되지만 신규 원전 건설은 하지 않고 설계수명이 종료된 원전을 폐쇄하며 태양광, 풍력, 특히 해상풍력 등 신재생에너지와 수소에너지의 비중을 높임으로써 탄소중립을 이뤄나가고자 한다고 말했다"며 "이것을 아데르 대통령께서 이해하신 대로 말씀하신 것 같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전체적으로 원전의 비중을 줄이자는 취지로 얘기했으나, 아데르 대통령은 '원전의 역할'에 방점을 두고 이해했다는 뜻으로 읽힌다.


한편, 문 대통령은 4일(현지시간) 순방 마지막 일정으로 한-비세그라드 그룹(V4) 정상회의에 참석하고, V4 중 폴란드·체코·슬로바키아 국가들과 각각 양자회담을 갖는다. 문 대통령은 이를 끝으로 7박 9일간의 순방을 마치고 한국시간으로 5일 서울에 도착할 예정이다.

고수정 기자 (ko0726@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