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재 영입' 급급해 부실 검증 노출
'거짓 해명'으로 공당 신뢰도 추락
조동연 "미리 못 밝혀 죄송하다" 사과
조동연 더불어민주당 공동상임선대위원장의 자진 사퇴로 ‘혼외자’ 논란은 일단락됐지만 뒷맛이 개운치 않다. 개인의 사생활 문제와 별개로 민주당의 인재 영입부터 의혹 해명, 사후 처리까지 그 과정이 공당으로서 적절하지 못했다는 점에서다.
첫 번째로 지적된 문제는 부실 검증이다. 민주당 내에서도 “국방부에 조회라도 해봤어야 했다”는 말이 나올 정도다. 조 전 위원장이 가진 ‘완벽한 스토리텔링’에 끌려 영입에 급급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운 대목이다. 인지하고도 인선을 강행했다면, 조 전 위원장을 보호하고 논란을 정면돌파했어야 하나 민주당은 그러지 않았다.
더 큰 문제는 의혹을 대하는 민주당의 자세다. 의혹이 처음 제기됐을 때 민주당은 선대위 대변인 명의로 “전혀 사실이 아니다”며 “강력한 법적 대응을 할 것”이라고 했다.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해명하기보다 ‘가짜뉴스’ 낙인을 앞세운 것이다. 안민석 의원도 “사실이 아닌 것으로 확인이 됐다”며 “문제를 제기한 본인은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엄포를 놨다.
결과적으로 전 위원장이 시인하면서 민주당은 거짓말을 한 셈이 됐다. 공당의 신뢰도에 큰 타격을 받았음에도 책임을 지거나 사과하는 이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송영길 대표는 오히려 “사회적 명예살인”이라며 언론 탓으로 돌렸다. 이재명 후보가 “모든 것은 후보 책임”이라고 했으나 말뿐이었고, 사실상 조 전 위원장 개인이 모든 멍에를 지게 된 형국이다.
한편 조 전 위원장 측 양태정 변호사는 5일 입장문을 통해 “2010년 8월경 제3자의 끔찍한 성폭력으로 인하여 원치 않는 임신을 하게 됐다”며 “폐쇄적인 군 내부의 문화와 사회 분위기, 가족의 병환 등으로 인하여 외부에 신고할 엄두조차 내지 못했다”고 혼외자 논란에 대해 해명했다.
양 변호사는 그러면서 “자신을 선대위원장으로 영입하려고 처음 만난 송영길 대표, 김병주 의원, 이용빈 의원에게 여성으로서 혼외자에 대한 사정을 이야기하지 못하였던 점에 대하여도 죄송하게 생각한다고 밝혔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