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현금서비스 금리 떨어진다"…카드사, 대출수요 급증


입력 2021.12.10 06:00 수정 2021.12.09 11:34        김민석 기자 (kms101@dailian.co.kr)

현금서비스 금리 4개월 새 최대 1.50%p↓

'셀프 신용점수 깎기' 수요로 대출잔액은↑

"총량규제 부작용…리스크 차단책 필수"

금융당국 가계부채 총량규제 부작용 여파로 카드사 현금서비스 대출금리가 지속 인하되고 있다. ⓒ픽사베이

카드사 현금서비스(단기카드대출) 금리가 떨어지고 있다. 금융당국이 카드론에 제동을 걸면서 비교적 규제가 덜한 현금서비스를 선택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어서다. 당국 규제 여파로 제1금융권이 고신용자에게 대출을 내주지 않자, 자발적으로 신용점수를 낮추기 위해 1~3등급 소비자가 현금서비스로 대거 쏠리는 기현상도 금리인하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금융권에선 비교적 규제가 헐거운 현금서비스에 대한 규제가 지속될 것으로 보고 당국 차원에서 리스크를 차단할 대책을 내놔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10일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지난 9월말 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우리·하나 등 국내 7개 전업카드사의 표준등급 기준 현금서비스 평균금리는 16.28~18.73%로 집계됐다. 지난 6월말의 17.78~19.08% 대비 0.35~1.50%p 낮은 수치다. 지난 3월말 현금서비스 금리인 17.90~19.19%와 비교하면 반년 새 0.46~1.62%p 인하된 셈이다.


이 같은 현금서비스 금리 인하는 이례적이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지난 8월과 11월 기준금리를 0.25%p씩 올리면서 타 금융권 대출상품 금리는 상승하고 있어서다. 실제 카드사가 취급하는 다른 대출상품인 '카드론' 금리는 지난 6월 12.45~13.52%에서 지난 10월 12.09~14.73%로 1.21%p 올랐다.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이번 달 3.59~5.01%까지 폭등했다.


다른 상품과 달리 현금서비스 금리가 낮아진 이유로는 두 가지가 꼽힌다. 금융당국의 가계부채 규제방안에서 현금서비스가 제외됐다는 게 첫 번째다. 지난 10월 26일 금융위원회는 가계부채 규제안을 발표하며 내년부터 카드론만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산정에 포함시키기로 결정했다. 카드론이 많을수록 대출을 받기가 더 어려워진다는 뜻이다. 금융감독원도 일부 카드사에 카드론을 줄이라고 직접 주문하기도 했지만 현금서비스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


ⓒ데일리안

최근 벌어지고 있는 '셀프 신용점수 깎기' 현상도 현금서비스 금리 인하 현상을 부추기는 요소다. 최근 시중은행은 금융당국의 강력한 총량규제 방안에 따라 고신용자 대출잔액을 줄이기 위해, 한도를 축소하고 금리를 인상하고 있다. 다만, 금융당국은 중·저신용자를 지원하기 위한 중금리대출 상품의 문은 열어뒀다.


문제는 더 많은 대출을 받기 위해 고신용자가 현금서비스 등을 이용해 스스로 신용점수를 깎는 기현상이 벌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고신용자가 현금서비스를 받으면 최저금리 수준의 낮은 이자율을 적용받는다. 현금서비스 이용 소비자 평균 금리가 낮아지면, 전체 금리도 떨어질 수밖에 없다. 최근 정부가 제공하는 자영업자 대출을 받기 위한 요건인 신용점수 779점(5등급)을 맞추기 위해 현금서비스를 사용하는 개인사업자가 급증하고 있다.


금융권에선 당국의 총량규제가 지속되는 한 이 같은 금리왜곡 현상이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금리가 낮아질 경우 높아진 대출문턱을 피해 현금서비스를 찾는 소비자가 대거 유입돼 잔액이 급증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실제 올 3분기말 기준 국내 7개 카드사의 현금서비스 잔액은 5조9206억원으로 지난해 말 5조2178억원 대비 13.5%(7028억원) 늘었다. 특히 올 상반기 5조4734억원였던 현금서비스는 3개월 만에 4472억원 급증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자산가격의 조정이 없는 한 대출수요는 계속 늘어날텐데 조금이라도 싼 금리를 제공하는 현금서비스로 움직이는 건 당연한 현상"이라며 "신용점수를 스스로 낮추기 위해 위험도가 높은 현금서비스를 찾는 기현상이 벌어지고 있는 만큼 당국은 다른 대책을 마련해 금융소비자 보호에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민석 기자 (kms10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