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 증가율 계획안 제출
내년에는 올해보다 은행에서 돈을 빌리기가 더욱 어려워질 전망이다. 시중은행들이 올해보다 대출 관리를 강화하하는 가운데, 대출 규제 적용 범위도 소득기준으로 더욱 깐깐해진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내년 은행권의 가계대출을 평균 4.5% 수준에서 관리하겠다는 지침을 각 주요 시중은행에 전달했다.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 금융감독원에 내년에 4~5%대 증가율로 가계대출을 관리하겠다는 계획을 제출한 상황이다. 이 중 은행 세 곳은 약 4.5%, 두 곳은 약 5%를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올해 가계대출 증가율보다 큰 폭으로 낮아진 수준이다. 금융당국은 올해 가계대출 증가율을 5~6%대로 맞춰 관리해왔다. 가계대출 증가분으로는 올해 110조원에서 87조원으로 쪼그라드는 수준이다. 지난달 말 기준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평균 증가율은 5.75%로 집계됐다. 은행별로는 KB국민은행 5.43%, 신한은행 6.3%, 하나은행 4.7%, 우리은행 5.4%, NH농협은행 7.1% 수준이다.
대다수의 은행이 연초 목표 5%를 초과한 상황인데 내년에는 이보다 대폭 낮은 4.5% 범위에서 엄격하게 관리해야 하는 상황이 된 것이다. 이에 따라 은행들이 내년에는 주택담보대출, 신용대출, 전세대출 등을 더욱 엄격하게 관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도 내년에 더욱 확대된다. 금융당국은 현재 6억원 초과 주택 구매시 주택담보대출을 받거나 1억원 초과 신용대출을 받는 경우 적용되는 DSR 40%(비은행권 60%) 규제를 내년 1월부터는 총대출액이 2억원을 초과하는 경우로 범위를 넓혔다. 신용대출 산정 만기도 현행 7년에서 5년으로 줄어든다.
올해 예외적으로 가계대출 총량 관리에서 제외시켰던 전세대출은 다시 포함된다. 다만 금융당국은 전세대출 등 서민 실수요자 대출은 중단되지 않도록 가계부채를 관리하겠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