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오락가락' 코로나 대응에 일침
"방역 데이터화 안돼 큰 문제"
"코로나 초기 '중국인 입국 금지' 제안도 무시"
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를 다시 강화하기로 한 가운데,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는 문재인정부의 코로나 방역에 대해 "정치 방역이 아닌 과학 방역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일침을 놓았다.
윤석열 후보는 16일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 임시회관에서 가진 간담회에서 "기존의 일률적인 거리두기가 아니라 국민의 일상과 자영업자 생계 침해를 최소화하며 역학자료를 바탕으로 거리두기를 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위드코로나' 후 코로나 확진자와 사망자수가 증가하고 있고 의료시스템 전체가 매우 불안한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며 "의료 체계가 확보됐다는 정부 발표와는 달리 코로나 전담 병상과 의료진이 충분히 없는 상태에서 '위드코로나'를 시행해 중증환자와 사망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정부의 '위드코로나' 이후 대유행을 대비한 대책 수립이 미흡했다"며 "사회적 거리두기 기간 동안 무너진 의료체계를 점검해야한다"고 강조했다.
또 국가 방역 체계, 감염병 정책 수립 시 의료진과 더욱 긴밀하게 소통해야 한다고 지적하며 "지금 우리 정부가 역학조사부터 데이터화 해서 플랫폼을 구축하고, 거기에 모든 의료기관 관계자와 질병관리청과 복지부, 환자와 가족들도 참여해서 플랫폼에 정보를 올려놓고 함께 공유하면서 거기서 결정 내려야하는데 그런 게 전무하다"고 꼬집었다.
그는 "위드코로나를 할건지 말건지도 플랫폼 정보를 통해 정부가 판단하고 과학적 거리두기와 방역을 하기 위해서도 플랫폼 정보를 통해 판단해야 하는데 기본적으로 초기부터 데이터화가 안돼 있어 앞으로 큰 문제"라며 "차기 정부를 담당하면 감염병 플랫폼을 구축하고 데이터화된 과학적 정책을 수립해 전문가들과 협의해 일을 처리하겠다"고 말했다.
윤 후보는 문재인정부의 초기 코로나 대응의 문제점에 대해서도 언급하며 의료진의 어려움에 공감하기도 했다.
그는 "지난해 초에 의협에서 여러차례 정부 당국에 중국인 입국을 막아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아는데, 무시됐다고 들었다"며 "의협이 전문가 집단인데, 자신들이 추진하는 정책과 다르다고 해서 의협의 제안은 전부 무시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병원 현장을 직접 가보고 싶었는데 혹시나 위중한 상황에서 환자들의 치료에 조금이라도 해가 될까 싶어서 못 갔다"며 "만약 불편을 끼쳐드리지 않고 현장을 목격할 기회가 된다면 기꺼이 가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이필수 의사협회장은 "현장 의료진은 병상 부족 심화로 인한 의료체계의 붕괴를 직접 체감하고 있다"며 "위기 극복을 위해 의료진과 현장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정책에 반영해야 한다. 한계에 임박한 의료체계가 지속 가능하도록 전문가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주시길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