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시다, 전날 아베 만나 논의
"기본적 신의 보이라"던 中
강하게 반발할 듯
일본이 미국 주도 베이징 동계올림픽 외교적 보이콧에 동참할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적 보이콧이란 선수단은 보내되 정부 인사 등으로 구성된 사절단은 보내지 않는 것을 뜻한다.
24일 일본 공영 NHK방송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이날 중국 인권 문제를 이유로 내년 2월 베이징에서 개최되는 동계올림픽에 각료 파견을 보류하겠다는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미국의 외교적 보이콧 공식화 이후 "적절한 시기에 국익에 따라 스스로 판단하겠다"는 입장을 견지해왔다. 하지만 기시다 총리가 몸담고 있는 집권당(자민당) 유력 인사들은 외교적 보이콧에 동참해야 한다고 연일 압박 수위를 높여왔다. 이에 기시다 총리는 전날 아베 신조 전 총리를 만나 일본이 취해야 할 대응 등을 논의하기도 했다.
일본이 외교적 보이콧 동참을 공식화할 경우 중국의 강한 반발이 예상된다. 앞서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 9일 "중국은 이미 온 힘을 다해 일본의 도쿄올림픽 개최를 지지했다"며 "일본이 응당 갖춰야 할 기본적 신의를 보여줄 때"라고 밝힌 바 있다.
중국이 지난해 7월 도쿄 하계올림픽 당시 체육부 장관에 해당하는 거우중원 국가체육총국장을 파견한 바 있는 만큼, 일본 역시 각료를 파견해야 한다는 뜻이다.
한편 문재인 정부는 '직전 동계올림픽 개최국 역할을 하겠다'며 사실상 외교적 보이콧에 동참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힌 상황이다.
실제로 지난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당시 직전 개최국이었던 러시아는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보좌관을 한국에 보낸 바 있다. 러시아는 도핑 문제로 국제올림픽위원회(IOC)로부터 징계를 받아 국가 단위 참가가 불가능한 상태였지만, 사실상 정부 대표단을 한국에 파견한 셈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당시 푸틴 대통령 보좌관인 이고르 레비틴을 만나 "직전 동계올림픽 개최국이자 동계스포츠 강국인 러시아의 참가는 우리 평창올림픽을 더욱 빛내주고 있을 뿐 아니라 평창올림픽을 평화와 화합의 장으로 만들려는 한국의 노력에 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