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2022 증시①] 인플레·금리인상·코로나...새해 증시 변수 만만찮다


입력 2022.01.01 07:00 수정 2021.12.31 11:26        백서원 기자 (sw100@dailian.co.kr)

긴축시대...미 연준 매파적 정책

“공급망 병목 현상, 하반기 해소”

각국 대선과 재정정책 향방 주목

2021년 3분기 CFO 서베이 결과 ⓒ대신증권

다사다난했던 2021년 증시가 저물고 새해를 맞았지만 악재가 될 수 있는 돌발 변수가 여전히 남아있다.


증시 전문가들은 올해 핵심 변수로 ▲인플레이션 ▲미국 금리인상 ▲코로나19 ▲공급망 병목현상 ▲대통령 선거 등을 꼽았다. 다만 투자자들이 경계의 끈을 놓지 않는다면 이러한 변수가 경기에 미치는 영향은 점차 축소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1분기 증시 변동성 확대 경계”


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물가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통화 긴축 정책을 공격적으로 펼치기로 하면서 새해 증시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앞서 연준은 지난해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통해 자산매입 축소(테이퍼링)를 올해 3월 종료하고 금리를 3회 인상할 것을 시사했다. 이에 따라 연준은 매달 150억 달러인 자산 매입 축소 규모를 300억 달러로 늘려 테이퍼링 종료 시점을 올해 6월에서 3월께로 앞당기기로 했다. 금리 인상의 전단계인 테이퍼링이 조기 종료되면서 금리 인상 시계가 빨라졌다는 전망이 나온다. 최근 각국 중앙은행은 긴축 통화정책으로 전환했다.


연준의 목표가 안정적인 인플레이션과 완전 고용이라는 측면에서 정책 스탠스가 더욱 매파적으로 진행될 가능성도 거론된다. 이번 회의에서 처음으로 대차대조표 축소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다는 점도 유의해야 한다. 대차대조표 축소는 말 그대로 유동성 규모의 축소를 의미한다. 2017년 말~2019년 당시 국면에서 글로벌 증시는 부진한 흐름을 나타냈다.


조병현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향후에도 연준의 매파적 정책 행보에 대한 불확실성은 수시로 확대될 개연성이 있고, 속도나 강도의 미세 조정은 있겠지만 기본적으로 통화 정책이 타이트해진다는 정책 방향성은 확정이 된 것”이라며 “결과적으로 펀더멘털에 대한 기대치가 뒷받침 될 수 있는지 여부가 올해 증시 방향성에 중요한 결정 요인”이라고 판단했다.


올해 투자 환경에선 공급망 병목현상 완화 여부와 시점이 관건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대신증권은 지난해 하반기 코스피를 비롯한 신흥 아시아 증시 부진의 중심에 공급망 병목현상이 있었다고 지적했다. 병목현상 장기화 여파가 물가·금리 상승과 통화정책 부담에 이어 경기 불확실성, 특히 제조업 경기까지 높이는 상황으로 이어졌다는 지적이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올해 공급망 병목현상 완화로 인한 긍정적인 변화를 기대하지만 1분기까지는 증시 변동성 확대를 경계하고 리스크 관리를 강화해 나갈 것을 권고한다”며 “하반기부터 본격 해소 국면 전개가 예상되는데 이는 글로벌 물가, 금리 상승과 통화정책 부담 완화, 경기 회복 기대 유입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2022년 세계 주요 정치 일정 ⓒ데일리안 백서원 기자
◆경기 정상화·선거 이벤트 결과 주목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확산에 따라 경기 재개 지연 우려가 커진 것도 증시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 다만 코로나19 때와 달라진 환경에서 경기 정상화는 지속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코로나19에 대한 공포 심리가 다소 완화된 가운데 전 세계 기업들의 현금 자산이 7조 달러에 육박하는 등 소비와 투자를 지지하기에는 충분한 여력을 보유했다는 평가다.


김병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비대면 시스템 도입과 개인 방역을 통해 바이러스와 공생하는 법을 터득했고 통화정책 정상화가 진행 중이지만 개인·기업의 대비책이 충분하다”며 “미국의 재정확대 기조도 이어질 전망으로, 구조적 성장주가 코로나19로 4차 산업 혁명이라는 비약적 성장을 이룩했다면 이제는 경기 정상화에 따른 경기민감주들의 반등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안영진 SK증권 연구원은 “세계 경제의 회복세는 한국 경제에도 우호적이지만 내구재 소비나 설비투자보다는 필수재, 서비스 소비, 건설투자에서 모멘텀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여 대외의존도가 높은 상품 수출 중심의 경제 구조에는 제한적인 수혜를 예상한다”며 “금리 상승 국면에서 오는 3월 각종 코로나 금융지원제도가 종료된다는 점은 리스크 요인”이라고 진단했다.


선거 이벤트를 전후로 각국의 재정정책 향방을 주시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올해 3월 한국 대선에 이어 4월 프랑스, 10월 브라질 대선이 예정돼 있다. 코로나19 이후 세계 전반적으로 확장적 재정정책이 이어지고 있는 만큼 정부의 정책 방향성이 중요해졌다.


전규연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한국은 대선 이후 추경 논의가 시작될 수 있으며, 보수적인 재정정책을 견지하는 프랑스는 최근 우파 정당의 지지율이 상승해 확장적 재정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아졌다”며 “11월에는 미국 중간선거가 열릴 예정인데 바이든 대통령에 대한 중간 평가의 성격을 띠고 있다는 점에서 눈여겨봐야 한다”고 밝혔다.

백서원 기자 (sw10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