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구용 한국상장회사협의회 회장은 31일 신년사에서 "급변하는 글로벌 경제 환경에서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낡은 규제는 과감히 폐지하고, ESG 경영 등 선제적으로 경영환경을 개선하는 기업들에게는 전폭적인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회장은 "2022년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아 기업들이 세계적으로 다시 뛸 수 있는 중요한 시기로서 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업 규제환경의 개선이 절실한 시점"이라며 "국가경제의 기반인 기업들이 현 상황을 극복하고 급변하는 글로벌 경제 환경에서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낡은 규제를 과감히 폐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회장은 이어 "우리 기업들은 코로나 이후에 전개될 새로운 국면에 대응하고자 신사업 추진, 사업재편 및 ESG 경영시스템 도입 등 끊임없는 변화를 추진하고 있다"면서 "ESG 경영 등 선제적으로 경영환경을 개선하는 기업들에게 전폭적인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극소수 기업의 회계 관행에 관한 단기 극약처방으로 도입된 표준감사시간과 주기적 감사인 지정제도 등 외국에서 사례를 찾아볼 수 없는 규제의 개선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기업의 부담을 가중시키는 부작용을 낳은 제도들은 글로벌 스탠더드에 맞게 보완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아울러 정 회장은 "ESG 경영이 기업의 생존과 직결돼 있지만 개별 기업이 속한 업종이나 처한 산업환경에 따라 느끼는 부담은 상이할 것"이라며 "광범위하고 모호한 ESG 기준에 의한 혼선, 관련 조직의 정비 및 공시의무화 요구에 따른 업무량 증가 등 우리 기업들이 필연적으로 겪게 될 고충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