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A 인증제도 국내 최초 획득 목표
KT는 클라우드 가상화 기업 틸론과 ‘공공기관 대상의 서비스형 데스크톱(DaaS) 사업모델 공동개발 및 사업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바탕으로 ▲가상 데스크톱 환경(VDI) 기반의 공공 망분리 사업 확장 ▲DaaS 사업모델 개발을 위한 기술 역량 교류 ▲DaaS 사업 활성화를 위한 홍보 및 공동 마케팅 등을 추진한다.
KT와 틸론은 DaaS 플랫폼을 공동 개발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주관의 보안인증을 국내 최초로 획득하는 것이 목표다.
국내 공공기관은 KISA 인증을 획득한 DaaS를 이용해야 한다. 인증 획득한 플랫폼이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디지털서비스이용지원시스템에 등록되면 공공기관들은 별도의 복잡한 입찰 절차 없이 DaaS 플랫폼을 도입할 수 있다.
KT와 틸론은 공공 클라우드 시장 개화 초기부터 동맹을 이어오고 있다. 양사는 국내 클라우드제공사업자(CSP) 최초로 멀티테넌시형 인터넷 망분리 DaaS 플랫폼을 공동 개발했다. 멀티테넌시형 플랫폼에서는 다수 고객이 동일 환경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김주성 KT 클라우드사업담당 상무는 “KT와 틸론은 국내 VDI 솔루션 사업자 중 가장 많은 구축 사례를 보유하고 있다”며 “견고한 협업을 통해 빠르게 성장하는 공공 망분리 시장을 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백준 틸론 대표는 “틸론은 VDI 솔루션 기업 중 유일하게 국정원 보안기능확인서를 취득한 기업”이라며 “공공기관에서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DaaS 서비스를 국내 최초로 제공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