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언 남발, 역사 왜곡하는 어이없는 주장이다"
일본 정부가 일제강점기 '사도광산'에서 있었던 조선인 강제노역 역사를 인정하지 못하겠다고 하자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강한 어조로 일갈했다.
지난 22일 서 교수는 자신의 페이스북 계정에 "일본 정부에서 조선인 강제노역이 있었던 사도광산에 대해 또 망언을 남발했다"는 글을 올리며 기하라 부장관의 발언을 전했다.
앞서 기하라 부장관은 21일 정례 기자회견에서 "사도광산에 관한 한국 측의 주장에 대해서는 전혀 받아들일 수 없다. 한국 측에는 강하게 의사표시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또 "한국 내에서 사실에 반하는 보도가 다수 이뤄지고 있다. 극히 유감"이라고 덧붙였다.
이는 한국 정부가 "태평양전쟁 중 조선인 강제노동이 있었다"며 사도광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추천에 반발한 것에 대한 일본 정부의 입장을 묻는 말에 대한 답변이다.
이에 서 교수는 "그야말로 역사를 왜곡하는 어이없는 주장"이라고 잘라 말했다. 그러면서 사도 광산이 있는 일본 니가타(新潟)현이 작성한 공문서를 근거로 제시했다.
니가타 노동기준국은 '귀국 조선인에 대한 미지급 임금 채무 등에 관한 조사에 관해'라는 문서에서 "1949년 2월 25일 1천140명에 대한 미지급 임금으로 23만1059엔59전이 공탁됐다"고 기록으로 남겼다.
서 교수는 "이러한 일본의 공문서가 남아 있음에도 한국에서 사실에 반하는 보도가 다수 이뤄지고 있다고 주장하는 것은 참으로 부끄러운 일이고, 최소한의 양심도 없는 발언"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2015년 군함도(端島·하시마)를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는 과정을 상기시켰다.
당시 일본은 "1940년대 일부 시설에 많은 한국인 등이 자신의 의사에 반해 동원돼 가혹한 환경 아래서 강제로 노동한 사실이 있음을 인식한다"며 "해당 시설에 정보센터 등을 세워 희생자들을 기리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