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지향적 인적자본 투자 등 무형자산 육성 정책 시급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 데이터 핵심기술 활용도 저조
한국의 세계 정보통신기술(ICT) 서비스산업 수출이 주요 수출국가 중 가장 낮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특히 ICT산업의 부가가치 비중도 OECD 하위권인 것으로 분석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OECD의 ‘국가별 디지털 경제 현황 관련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세계 ICT 서비스 수출 중 한국의 수출 점유율은 0.98%로 주요 수출국 21개 중 21위를 기록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는 ICT서비스 수출 1위인 아일랜드**(16.41%)는 물론, 중국(6.32%), 일본(1.07%) 등 아시아 경쟁국에 비해서도 낮은 수치다. 특히 ICT 제조업 수출이 중국에 이어 세계 2위(총수출액 기준)인 점과 비교하면 우리나라 ICT 분야의 제조업과 서비스업 간 심각한 불균형이 드러나는 부분이다.
전경련에 따르면 우리나라 ICT 서비스산업의 경제적 가치 창출 역량도 아직 미흡한 수준이다. 한국 ICT 산업 부가가치비중*은 10.3%로 OECD 국가 중 3번째로 높은반면, ICT 서비스산업의 부가가치비중은 3.8%로 OECD 회원국 38개국 중 28위에 그쳤다.
팬데믹으로 디지털 전환이 더욱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디지털 경제의 핵심역량인 ICT서비스산업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전경련은 한국의 ICT서비스 산업 경쟁력 부족 원인으로 ICT 혁신 기술의 활용도가 낮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OECD에 따르면 한국의 클라우드 서비스 활용 비중은 22.7%로 OECD 35개국 중 32위에 불과했다. 한국은 RFID(무선주파수식별기술)를 제외한 빅데이터(3.2%), ERP(27.9%) 등 주요 기술의 활용도가 OECD 국가들의 평균 수준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경련은 우리나라도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을 위해 ICT서비스 산업의 역량 강화가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또 ICT 혁신이 경제적 부가가치 창출을 좌우하는 핵심역량으로 부상하면서 기존의 인프라 중심의 성장에서 소프트웨어‧데이터베이스‧인적자본 등의 ‘무형자산’에 대한 투자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고 봤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본부장은 “최근 대선을 앞두고 모든 후보들이 차기정부의 경제정책으로 중요시하는 부분이 ICT 산업”이라며 “진정한 디지털 경제 강국이 되기 위해서 한정된 자원을 미래지향적인 발전 동력으로 삼는 청사진을 제시하는 정책이 업계와 국민의 공감을 얻지 않을까 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