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지방선거 전 합당 끝낼 듯
합당 과정서 김한길 등 역할 할 듯
장기적으론 민주당 분화 가능성도
'국민통합정부'를 공언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3·9 대선에서 승리하면서, 다양한 정계 개편의 시나리오가 고개를 들고 있다. 당장 국민의힘과 국민의당의 합당이 추진되면서 보수 진영 내 권력 지형에 변화가 생길 전망이다.
윤 당선인은 당선 직후인 10일 새벽 국민의힘 개표 상황실이 마련된 국회도서관 강당을 찾아 국민의당과의 합당 문제를 조속히 마무리짓겠다고 밝혔다.
그는 "국민의힘과 국민의당이 빠른 시일내에 합당 마무리를 짓고, 더 외연을 넓히고, 더 넓은 국민들의 지지를 받고, 국민들 고견을 경청하는, 훌륭하고 성숙된 정당이 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하고 저도 많이 도와주시기를 부탁드리겠다"고 했다.
앞서 윤 후보는 대선을 6일 앞두고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와 단일화를 하면서, 선거 직후 양당의 합당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양당은 오는 6월 1일 치러지는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가 치러지는 만큼, 합당 절차를 빠르게 끝내야 하는 상황이다. 지방선거 공천 문제가 얽혀 있는 최대 당면 과제다.
야권에서는 윤 당선이 선대위 구성 당시 후보 직속 기구였던 '정권교체동행위원회'가 중심적인 역할을 맡을 거라는 전망이 나온다. 정권교체동행위의 전신인 새시대준비위를 이끌었던 김한길 전 민주당 대표는 윤 당선인과 안 대표와의 후보와의 단일화 협상에도 참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소야대' 국면에서 윤 당선인의 임기가 실제로 시작되게 되면, 협치를 전제로 한 여야 정계개편이 일어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더불어민주당 내에서 친(親) 이재명 세력이 아닌 이들을 중심으로 패배 책임론이 불면, 당권 경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민주당 세력이 분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윤 당선인은 선거 유세 기간 동안 "이재명의 민주당 세력에게 눌려서 기를 펴지 못하는 양식 있는 민주당 정치인들이 있다"며 "나라가 잘되려면 여야의 양식 있는 사람들이 합리적으로 협치를 해야 한다"고 강조해왔다. 민주당 의사들을 향해 필요할 경우 국민의힘으로 올 수 있도록 퇴로를 열어 놓은 셈이다.
다만 여야를 포함한 대규모의 정계개편은 지방선거를 앞둔 만큼, 이른 시일 내에 일어날지는 미지수다.
유시민 전 노무현재단 이사장은 이날 KBS 대선 개표 방송에 출연해 민주당을 포함한 정계개편 가능성에 대해 "국회의원에게는 2년 후 총선이 있다. 연말까지는 새 정부와 허니문 기간이지만, 2년 후 선거가 있기에 (민주당이) 내홍에 빠질 가능성은 없다"며 "윤석열 캠프가 그걸 기대하고 자극하는 순간 여야 관계는 파탄 날 것이다. 이건 확실하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