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출신 공무원 2명, 인수위 발탁
규제 완화에 따른 재건축·재개발 활성화 전망
서울 중심 정책 추진, 국토균형발전 측면 '아쉬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구성이 완료됐다. 특히 부동산 정책을 다룰 경제2분과에는 현 정부 부동산 정책을 비판하던 인사들이 대거 합류하면서 규제 완화를 골자로 한 시장 중심 정책 기조에 방점을 찍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23일 정치권 등에 따르면 인수위 경제2분과에는 총 17명의 전문·실무위원이 확정됐다. 전문위원 9명, 실무위원 8명 등이다.
이 중 부동산 분야 전문위원으로는 김성보 서울시 주택정책실장과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 백원국 국토교통부 국토정책관 등이 자리했다. 실무위원은 정종대 서울시 주택정책지원센터장과 김용수 국민의힘 국토위 전문위원이 이름을 올렸다.
서울시에서 차출된 김성보 실장은 도시계획 및 주택 정책 관련 전문가로 통한다. 윤 당선인의 부동산 정책 담당 인수위 파견 요청을 받고 오세훈 서울시장이 1순위 파견 대상으로 올린 인물로 알려졌다.
김 실장은 지난해 보궐선거 이후 7월부터 주택정책실장을 맡으면서 신속통합기획 등 서울시 부동산 정책을 총괄하고 있다.
심교언 교수는 현 정부의 규제 일변도 정책과 공공 주도 개발방식을 비판, 실질적인 공급 확대를 위해선 민간의 필요성을 인정해야 한다고 강조해온 인물이다. 20대 대선 과정에서 윤 당선인의 선거캠프 내 경제정책추진본부 위원으로 활동하며 부동산 정책 전반에 대해 자문하는 역할을 맡았다.
서울시 공무원 출신과 시장주의 성향의 부동산 전문가가 각각 발탁되면서 차기 정부의 부동산 정책은 규제 완화를 골자로 한 시장 중심의 정책 방향성을 가질 거라는 데 무게가 실린다.
윤 당선인은 민간 주도로 임기 내 250만가구 주택을 공급하겠다고 공약한 상태다. 이를 위해 재건축 안전진단 규제 완화,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 완화 등을 추진한단 구상이다. 위원들은 이 같은 윤 당선인의 부동산 공약 이행 가능성 등을 따져 정책 추진에 필요한 규제 완화 방안 및 제도 보완 사항 등을 살필 예정이다.
전문가들은 새 정부 출범 이후 특히 서울시와의 정책 공조가 한층 강화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특히 실질적인 규제 완화가 이뤄질 경우, 오 시장의 역점인 신속통합기획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그간 정부는 민간 주도 주택공급 필요성에 공감하면서도 집값 상승을 우려해 실질적인 규제 완화에는 미온적인 태도를 견지해 왔다. 이에 재건축·재개발 활성화를 통해 서울 도심 내 주택 공급을 확대하겠다는 오 시장의 부동산 정책이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는 실정이었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서울에 수요가 많이 집중된 반면, 공급은 태부족한 상황"이라며 "윤 당선인과 오 시장이 협력해 규제 완화를 통한 민간 공급 확대에 뜻을 같이한다면 차기 정부에선 도심 내 주택 공급을 활성화하는 데 보탬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구체적인 정책이 마련돼야겠지만 현재로선 재건축은 반쪽 활성화에 그치고, 오히려 노후주거 개선이 시급한 재개발이 활발히 추진되는 데 효과를 볼 것"이라며 "반면 문재인정부에서 추진 중인 공공 주도의, 임대 형태의 공급 방식은 민간임대 등으로 변형되거나 규모가 축소될 가능성이 크다"고 봤다.
다만 서울·수도권 중심으로 부동산 정책이 설계돼 자칫 국토균형발전을 저해할 수 있단 우려도 제기된다.
서진형 대한부동산학회장(경인여대 교수)은 "인수위는 부동산 정책 전반을 총괄해야 해야 한다"며 "서울시 주택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대한민국 전체 부동산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아니어서 국토공간계획이나 국토균형발전 측면에선 아쉬움이 남는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