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우여곡절 끝에 文‧尹 회동 성사…용산시대·인사 논의 주목


입력 2022.03.27 14:49 수정 2022.03.27 14:50        정계성 기자 (minjks@dailian.co.kr)

우크라 사태, 북한 ICBM 등 엄중한 상황

차일피일 미뤄지는 회동에 양측 부담

文·尹 "의제 없이 허심탄회하게 대화"

집무실 이전·인사·사면 등 논의 가능성

지난 2019년 문재인 대통령이 청와대 본관에서 윤석열 당시 신임 검찰총장 임명장 수여식을 마치고 함께 환담장으로 향하는 모습. ⓒ뉴시스

문재인 대통령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우여곡절 끝에 28일 청와대 상춘재에서 만찬을 겸해 회동을 갖기로 합의했다. 대선 이후 19일 만으로 역대 현직 대통령과 당선인 만남으로서는 가장 늦은 시점이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북한 ICBM 발사 등 안보 현안이 시급한 상황에서 신·구 권력 다툼으로 비치는 것에 대한 양측의 부담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청와대와 인수위 측의 발표를 종합하면, 지난 25일 이철희 청와대 정무수석이 장제원 당선인 비서실장에게 연락해 "가급적 이른 시일 내에 윤 당선인과 만났으면 한다"는 문 대통령의 제안을 전하고 물밑 조율을 이어왔다. 윤 당선인이 "국민의 걱정을 덜어드리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의제 없이 만나 허심탄회하게 대화하자"고 화답하며 회동이 전격 성사됐다.


회동에는 유영민 청와대 비서실장과 장제원 당선인 비서실장이 배석한다. 회동 조율을 맡았던 이철희 수석 대신 유 실장이 배석하는 것에 대해 청와대 관계자는 "윤 당선인을 예우하는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의제는 사전에 별도로 정해놓지 않았다. 그간 집무실 이전, 감사원 감사위원 등 인사, 이명박 전 대통령 사면을 놓고 양측이 첨예하게 대치하며 부담감이 커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윤 당선인 측은 다만 "사전에 무엇을 염두에 두고 그런 부분은 없다"면서도 "국민이 걱정하시는 부분들을 덜어드리기 위해 만나 허심탄회하게 대화를 하다 보면 국민께 의미 있는 결실을 전해드릴 수 있지 않을까 한다"고 기대감을 보이기도 했다.


집무실 이전의 경우 앞서 청와대가 안보 등을 이유로 "무리가 있다"고 반대하며 갈등이 증폭된 바 있다. 다만 청와대가 "문 대통령도 광화문 이전을 공약했었다"며 이전 자체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평가한 만큼, 양측의 공감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임기 말 '알박기 인사' 전반에 대한 문제 제기가 이뤄질 공산도 크다. 인사권의 핵심 쟁점이었던 감사원 감사위원 임명은 감사원이 '현시점에서 제청권 행사가 적절한지 의문'이라고 밝히며 정리가 됐지만, 이외에 다른 공공기관장을 임기 말 청와대가 임명하는 데 대한 문제의식이 적지 않다.


코로나로 인한 자영업자 피해 보상을 위한 2차 추경에 대한 논의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윤 당선인은 후보 시절 50조 추경을 공약하고 기재부에 추경안 제출을 요청한 상태다. 정부는 2차 추경에 부정적이나 현 여당인 더불어민주당도 추경을 통한 피해 보상이 필요하다는 입장이어서 변화가 있을 수 있다. 청와대는 이날 "재정 당국과 국회의 논의를 지켜보겠다"고 했다.


이 밖에 이명박 전 대통령에 대한 사면도 만찬 등 자리에서 자연스레 언급될 수 있다. 앞서 회동이 불발되기 전 윤 당선인은 국민통합 차원에서 이 전 대통령 사면 건의를 공언한 바 있다. 이 과정에서 문 대통령의 측근인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에 대한 사면 문제도 함께 거론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이다.

정계성 기자 (minjks@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정계성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