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저 해결 無…자택서 출퇴근할 듯
한남동 공관 신축 문제도 해결해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중점 추진 공약 중 하나인 '청와대 집무실 용산 이전'이 공전 끝에 본격적인 첫 발걸음을 뗐다. 6일 열린 임시 국무회의에서 집무실 이전을 위한 1차 예비비 360억 원이 통과되면서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임시 국무회의에서 "윤석열 당선인의 의지가 확실한 이상 결국 시기의 문제이지 청와대 집무실 이전은 진행될 수밖에 없다"며 '대통령 집무실 이전을 위한 예비비 지출안'을 의결했다.
신구 권력의 갈등으로 비칠 만큼 집무실 이전을 둘러싼 문재인 대통령 측과 윤 당선인 측의 감정 싸움은 격화되기도 했지만, 결국 문 대통령 측이 협조에 나서며 '청와대 시대'의 종식이 다가왔다는 평가다.
하지만 당초 윤 당선인의 목표대로 다음 달 10일 취임과 함께 용산 집무실에서 임기를 시작하는 모습은 현실화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당장 이날 통과된 1차 예비비에서 윤 당선인이 근무할 집무실 설치 비용이 제외되면서 취임 이후에도 상당 기간 집무실을 사용하지 못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날 통과된 1차 예비비를 세세하게 살펴보면 집무실을 옮김으로써 연쇄 이동이 불가피해진 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의 이전 비용으로 118억 원이 포함됐다. 대통령 경호를 위한 필수 안보 시설 구축에 116억 원, 일반 사무실 및 전산 서비스 구축에 101억 원, 윤 당선인이 거주할 육군참모총장 공관 리모델링 비용 등에 25억 원이 투입된다. 이 중 합참과 국방부 관련 지휘부서의 이동은 오는 28일로 예정된 한미연합훈련이 종료된 이후에나 착수될 전망이다.
아울러 직접적으로 윤 당선인이 사용하게 될 집무실을 조성하는데 드는 비용이 1차 예비비에서 제외되면서 향후 추가 예비비 사용을 통해서만 관련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됐다. 국방부와 합참이 이전한 뒤 공실이 된 사무실에 대통령 집무실을 조성해 사용하려면, 반드시 새로운 예비비 승인이 있어야 한다는 의미다.
따라서 윤 당선인이 취임 이후에도 계속해서 자택 출퇴근을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온다. 윤 당선인이 용산 국방부 청사로 출퇴근을 시작하게 된다면 출퇴근 문제 해결을 위해 관저 신축의 필요성이 제기된 만큼, 이 문제도 조기에 매듭지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남동에 공관을 신축하게 될 경우 혈세 낭비라는 비판에 직면할 수 있고, 당선인이 머물 수 있게끔 시설을 개조하더라도 여전히 경호나 교통이 문제로 대두될 수 있어 어려움이 예상된다. 한 인수위 관계자는 "당장 공관을 개조해 당선인이 입주하더라도 3km 떨어진 국방부 청사까지 출퇴근하는 과정에서 교통 문제가 불거질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때문에 인수위 안팎에선 윤석열 정부가 출범한 뒤 3개월가량 윤 당선인이 기존의 서초동 자택과 통의동 인수위 사무실을 임시로 사용하게 될 거란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윤 당선인도 후보 시절 "인수위 사무실에 침대 하나 깔아주면 여기서 자고 일하면 된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관저는 육군참모총장 공관을 리모델링해 사용할 예정이다. 그러나 취임 전까지 리모델링 공사가 완료될지 미지수다. 이에 따라 공관 공사가 완료되기 전까지는 윤 당선인이 취임 후에도 지금처럼 서울 서초구 자택에서 출퇴근할 가능성이 높다.
관저가 마련되지 않더라도 국방부 청사에 간이 집무실을 만들어 임시로 쓰는 것도 대안으로 검토된다. 급한 대로 윤 당선인이 용산에 집무실을 구성하고, 비서진 및 산하 부서는 여건이 갖춰지는 대로 순차 입주하는 방안도 검토된 것으로 알려졌다.
장제원 당선인 비서실장은 이날 취재진과 만나 "이사 일정을 빨리 진행하면 40일 만에 될 수 있을지 전문가의 의견을 들어보겠다"라며 집무실 임시 체제를 최소화하겠다는 뜻을 전했다.
한 정치권 관계자는 "최소 6월은 돼야 국방부 청사로의 대통령 집무실과 기자실 이전이 마무리될 수 있지 않겠나"라며 "업무 공백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각별한 주의와 신중한 업무 프로세스가 필요할 것"이라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