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별 평가에도 격리자에게 최대한 응시기회 제공 권고
오는 11월 17일 치러지는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 이후 처음으로 확진 수험생이 별도 시험장에서 시험을 치른다. 대학별 평가에서는 확진 수험생에게도 응시 기회를 최대한 제공하도록 권고한다.
교육부는 4일 시도교육청과 대학, 감염병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및 질병관리청과 협의를 거쳐 마련한 '코로나19 대응 2023학년도 대입 관리 방향'을 발표했다. 이번 수능 원서 접수는 8월 18일부터 9월 2일까지다. 수능은 11월 17일, 수시전형은 9월 18일∼12월14일, 정시전형은 내년 1월 5일∼2월 1일 진행된다.
올해 확진 수험생은 수능일 자차나 방역 택시 등을 이용해 시험지구별로 마련된 별도 시험장으로 이동해 응시한다. 별도 시험장의 수험생간 거리는 2m 이상 유지한다. 지난해에는 밀접접촉자 등 자가격리 수험생 128명은 격리자를 위한 별도 시험장으로 이동해 시험을 치렀고, 확진 수험생 96명은 병원이나 생활치료센터에서 시험을 봤다.
일반 수험생은 사전에 고지된 일반 시험장에서 응시한다. 한 시험실당 최대 24명이 배치된다. 수험생은 시험장에서 마스크를 항상 착용해야 한다. 시험장 입구에서 발열 검사를 받고, 증상이 있으면 시험장 내 분리 시험실에서 응시해야 한다. 분리 시험실의 수험생간 거리도 2m 이상 유지한다.
교육부는 2023학년도 역시 대학이 코로나19 확진자를 포함한 모든 수험생에게 최대한 응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권고할 예정이다. 격리기간 중 대학별 평가에 응시하여야 하는 수험생은 관할 보건소와 지원 대학에 사전에 자진 신고하고, 대학별 평가 응시자임을 증빙할 수 있는 수험표 등을 지참해 외출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