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와 충돌하는 코스에 있는 소행성에 우주선을 충돌시켜 궤도를 바꾸는 인류 최초의 '지구 방어 실험'이 성공했다.
지난 11일(현지 시각)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쌍(雙) 소행성 궤도수정 실험(DART) 결과, 소행성 다이모르포스의 궤도 변경을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인류가 천체의 움직임을 임의로 변경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빌 넬슨 NASA 국장은 "DART가 (소행성 공전 주기를) 11시간 55분에서 11시간 23분으로 단축했다"라면서 "이건 행성 방어를 위한 분수령이고, 인류에게도 분수령의 순간"이라고 강조했다.
DART 프로그램을 담당한 과학자 톰 스태틀러 역시 "우리는 수년 동안 이걸 상상해왔고 마침내 현실이 됐다"며 기쁨을 감추지 못했다.
NASA는 공전주기 단축 시간을 애초 10분으로 예측했으나 실험 결과 줄어든 시간은 32분으로 측정됐다.
지난해 11월 팰컨9 로켓에 실려 발사된 자판기 크기의 DART 우주선은 올해 9월 26일 지구에서 약 1,120만km 떨어진 소행성 다이모르포스에 시속 2만 2,530km 속도로 충돌했다.
지름 160m 크기의 다이모르포스는 소행성 디디모스를 11시간 55분 주기로 공전해왔다.
다이모르포스와 디디모스는 지구에 4,800만km 이내로 접근하는 지구 근접 천체로 분류돼 있지만 지구와 충돌할 위험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NASA는 이번 결과를 활용, 컴퓨터 모델을 개선해 소행성 충돌로부터 지구를 방어하는 전략을 수립하는 데 활용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