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국립공원공단, 야생맷돼지 폐사체 발생 예측지도 도입


입력 2022.11.14 12:01 수정 2022.11.14 12:01        장정욱 기자 (cju@dailian.co.kr)

국립공원 내 ASF 확산 방지 목적

발생 가능성 따라 1~4등급 구분

국립공원공단이 치악산국립공원에서 폐사체 예측지도가 내장된 단말기를 이용해 야생멧돼지 폐사체를 찾고 있다.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공단은 국립공원 내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산 방지를 위해 야생멧돼지 폐사체를 과학적 분석기법으로 찾는 ‘폐사체 발생 예측지도’를 15일부터 전국 국립공원 수색활동에 본격적으로 도입한다.


ASF는 돼지과에서 발병하는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감염 개체와 접촉으로 전파가 이뤄지기 때문에 확산 예방을 위해서는 감염 개체 신속한 발견과 제거가 필수적이다.


이번 ‘폐사체 발생 예측지도’는 올해 4월부터 최근까지 국립공원공단 소속 국립공원연구원과 박영철 강원대학교 교수팀이 합동으로 개발했다.


폐사체 발생 예측지도는 국내에서 발생한 야생멧돼지 폐사체 발생좌표(1399개)와 좌표별 환경변수(10개)를 기계학습(머신러닝)으로 분석한 결과물이다.


예측지도 상 발생 가능성은 1~4등급으로 구분한다. 1등급은 발생 가능성이 가장 높음을 의미한다.


국립공원공단은 올해 6월부터 설악산 등 산악형 17개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예측지도를 활용한 수색 활동을 시범 추진해 왔다. 8개 국립공원(지리, 설악, 속리, 덕유, 오대, 주왕, 월악, 소백)에서 총 49건(양성 11건) 폐사체를 찾아 제거했다.


이 가운데 32건이 예측지도 1~2등급 지역에서 발견됐다. 전체 공원면적 대비 22%에 불과한 1~2등급에서 폐사체 65%를 발견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수색효율을 높이기 위한 예측지도의 활용 가치는 높은 것으로 보인다.


국립공원공단은 앞으로 산악형 17개 국립공원 수색현장에서 담당자 휴대전화 지도에 예측지도 프로그램을 적용한다. 예측지도를 통해 폐사체 발생 가능성이 큰 지역을 우선해서 수색한다.


국립공원공단은 “겨울철은 먹이 부족 등의 이유로 야생멧돼지 행동권이 넓어지는 시기”라며 “개체 간 접촉빈도 증가에 따른 질병 확산 위험이 커 각별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폐사체 발생 예측도를 적용한 전국 17개 국립공원 야생멧돼지 폐사체 수색 성과를 바탕으로 향후 적용 범위 확대 등을 통해 ASF 방역관리 효율화를 기대한다.


송형근 국립공원공단 이사장은 “국립공원은 넓고 험준한 산악지형이란 특성 상 야생멧돼지 폐사체 수색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며 “국립공원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과학적 대응 기법을 지속해서 개발해 ASF 방역에 중추적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장정욱 기자 (cju@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