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9차 한·중·일 환경과학원장회의’
국립환경과학원은 24일 영상회의를 통해 동북아 환경질 개선을 위한 ‘제19차 한·중·일 환경과학원장회의’에 참석한다고 밝혔다.
한·중·일 환경과학원장회의는 동북아 환경문제를 과학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기후와 대기, 물, 보건 등 여러 환경 분야 연구성과를 공유하고 협력방안을 논의하는 국제회의다. 지난 2004년부터 현재까지 해마다 열고 있다.
올해 회의에는 김동진 국립환경과학원장과 리 하이셩 중국 환경과학연구원장, 기모토 마사히데 일본 국립환경연구소 원장 등 3국 환경과학원 관계자 약 40여 명이 참석한다.
24일 오전에 열리는 ‘한·중·일 환경과학원장회의 국제 연찬회’에서는 3국 교류와 협력이 활발한 기후·대기 분야 ‘신기술 기반 대기 관측과 배출원 기여도’를 주제로 각국 연구성과를 소개한다.
대기오염물질 분광학 관측 시스템 개발, 온라인 기반 저비용 센서 개발 등 대기 분야 연구 결과와 함께, 온실가스 관측을 위한 고밀도 관측망 구축, 이산화탄소 관측을 활용한 배출 기여도 산정 등 기후 분야 연구성과도 함께 논의할 예정이다.
오후 본회의에서는 물환경과 대기, 환경보건, 기후변화 등 4대 중점협력 연구 분야 추진상황을 점검한다. 더불어 기후변화와 관련한 각국 비교연구 결과에 대해 의견을 나눈다.
4대 중점협력 연구 가운데 물환경 분야는 우리나라 주도로 3국 수량, 수질, 수생태 협력 연구 결과를 소개한다. 대기 분야는 중국이, 환경보건과 기후변화 분야는 일본이 주도한다.
국제적 환경 현안인 기후변화와 관련해 ▲온실가스 관측 ▲온실가스 저감 ▲기후변화 적응 등 세 가지 주제로 3국 비교연구를 통해 동북아 기후 위기 극복을 위한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김동진 국립환경과학원장은 “한·중·일 환경과학원장회의는 미래 환경문제를 과학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국가 간 협력방안을 논의하는 대표적 모범사례”라며 “동북아시아에서 나아가 지구촌 환경문제를 해결하는 데 든든한 초석이 될 수 있도록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