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한은 "물가 상당기간 2% 상회…주택시장 부진 지속"


입력 2023.02.21 14:00 수정 2023.02.21 14:00        고정삼 기자 (jsk@dailian.co.kr)

국제유가·공공요금 인상 등 변수

거래부진에 주택가격 하락세 지속

규제완화에 매매가 하락 폭 축소

ⓒ한국은행

한국은행이 향후 국내 물가의 상승세가 둔화할 것으로 예상하면서도, 물가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아울러 주택시장의 부진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높은 대출금리, 매매·전세가의 연쇄 하락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한은은 21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 제출한 업무보고 자료에서 "소비자물가는 유가 하락, 경기 둔화 등으로 오름세가 점차 축소되겠으나 누적된 비용상승 압력이 반영되면서 상당기간 목표수준을 상회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내 물가의 오름세가 지난해 중반 이후 국제유가 하락 영향으로 둔화했지만, 여전히 5%대 수준의 높은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은은 물가 경로에서 나타날 수 있는 불확실성으로 ▲국제유가 추이 ▲공공요금 인상 ▲주요국 중앙은행의 정책대응 등 3가지를 꼽았다.


유가의 경우 두바유가 지난해 말 배럴당 70달러대까지 하락한 이후 최근 80달러를 웃도는 수준으로 반등했고, 중국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등이 물가 상방 리스크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앞으로 공공요금도 인상되면, 직접적인 물가 상승 효과 이외에 다른 상품과 서비스 가격에 2차 파급 영향이 나타날 가능성을 우려했다. 주요국 중앙은행의 통화긴축 속도 조절 등 정책대응 양상에 따라서도 물가 흐름이 달라질 것으로 예측했다.


주택 매매가격 및 거래량과 주택가격전망 CSI 그래프.ⓒ한국은행

국내 주택시장은 부진을 면치 못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주택가격은 거래부진이 이어지는 가운데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다. 다만 최근 규제완화 등으로 매매가격 하락 폭은 축소되는 모습이다.


실제 지난달 주택가격전망 소비자동향지수(CSI)는 68로, 작년 12월(62)보다 소폭 반등했지만, 여전히 기준치(100)와 지난 2019년 3월 최저치(83)를 큰 폭으로 하회하는 수준을 보이고 있다.


한은은 "올해 중 주택시장은 높은 대출금리, 매매·전세가격의 연쇄 하락 등으로 당분간 부진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다만 정부의 부동산 대책은 매수심리의 급격한 위축을 막아 주택가격 하락 속도를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고정삼 기자 (jsk@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고정삼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