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임종 환자의 무의미한 연명의료 막도록 돕는다…정부가 독려


입력 2023.02.21 12:24 수정 2023.02.21 12:24        유준상 기자 (lostem_bass@daum.net)

자신의 연명의료 중단 결정 가능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 행사

보건복지부는 21일 정부세종청사 복지부에서 직원들이 참여하는 연명의료결정제도 교육 및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 행사를 개최했다. ⓒ연합뉴스

보건복지부는 21일 오전 11시 30분 정부세종청사 복지부에서 직원들이 참여하는 연명의료결정제도 교육 및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 행사를 개최했다.


연명의료결정제도는 임종 과정에 있는 환자가 무의미한 연명의료를 시행하지 않거나 중단할 수 있는 기준 및 절차를 마련해 국민이 삶을 존엄하게 마무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제도다.


19세 이상이면 누구나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통해 자신의 연명의료중단 등 결정 및 호스피스에 관한 의사를 사전에 작성·등록할 수 있다.


이번 행사는 복지부가 사전연명의료의향서의 등록 접근성 제고를 위해 시행 중인 '찾아가는 상담소'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 공공보건정책관 등 100여 명의 직원이 참여할 예정이다.


연명의료결정제도 시행 5년이 되는 2023년 2월 현재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자 수는 160만 명을 달성했고, 실제 의료기관에서 연명의료중단이 이행된 건수는 26만건을 넘어섰다.


복지부는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을 원하는 국민이 쉽게 등록해 향후 임종 과정에서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환자의 자기결정권이 제대로 보장되도록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기관과 제도 참여 의료기관을 지속 확충해 나갈 예정이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을 원하는 사람은 거주지 근처에 위치한 등록기관에 방문해 상담사와의 상담을 통해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등록할 수 있다. 거동이 불편해 방문이 어렵거나 기관의 단체 상담·등록을 원하는 경우에는 '찾아가는 상담'을 신청할 수 있다.


복지부 박향 공공보건정책관은 "존엄하고 편안한 생애 마지막을 위한 연명의료결정제도의 취지에 공감해 직접 참여하게 됐다"며 "국민 모두 생애 마무리에서 인간으로서의 품위를 보장받을 수 있도록 제도가 정착되고 나아가 확산될 수 있도록 더욱 힘쓰겠다"고 밝혔다.


이어 "최근 행복한 노년기와 존엄한 죽음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높은 만큼 제도를 더욱 알려 많은 국민이 제도에 참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유준상 기자 (lostem_bass@daum.net)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유준상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