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최악의 성적표 받아든 한전·가스공사…국민은 요금인상 '압박'


입력 2023.02.24 18:42 수정 2023.02.24 18:43        유준상 기자 (lostem_bass@daum.net)

한전 적자 33조·가스공사 미수금 9조 기록

전기·가스요금 2분기부터 줄줄이 오르나

난방비 이슈와 내년 총선이 폭·시기 변수

'억대 연봉 잔치' 논란 다시 도마에 오를 듯

한국전력과 한국가스공사. ⓒ데일리안 DB

국내 에너지공기업 양대산맥인 한국전력과 한국가스공사가 24일 최악의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한전은 적자가 33조원, 가스공사는 미수금이 9조원에 달하면서 국민은 전기·가스요금 인상 압박이 커지는 모양새다.


이들의 '억대 연봉 잔치'도 다시 도마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국내 에너지 수급을 책임지는 양대 기업이 적자더미에 오르는 지경에 처했음에도 정작 두 기업은 그들만의 잔치를 벌이고 있었다는 비판을 면치 못할 듯 보인다.


먼저 한전은 작년 한 해 32조6034억원 영업손실을 냈다. 1∼4분기 누적 기준 역대 최대 영업손실이다. 연도별 영업손실 종전 최대치였던 2021년(5조8465억원)의 5.6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4분기만 떼놓고 봐도 분기별 역대 최대인 10조7670억원 적자를 냈다. 종전 최대치였던 지난해 1분기 영업손실(7조7869억원)을 훌쩍 뛰어넘었다.


한전이 이같이 경영악화를 맞이한 것은 작년에 요금 인상을 단행했음에도 액화천연가스(LNG) 등 연료비 급등을 감당 못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정부는 지난해 세 차례(4·7·10월)에 걸쳐 전기요금을 ㎾h(킬로와트시)당 총 19.3원 인상했지만 적자 규모는 오히려 확대됐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으로 글로벌 에너지 원자재 가격이 치솟았지만 이를 연료비 조정단가에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다.


한전은 올해 1분기 요금도 역대 최대인 ㎾h당 13.1원을 인상하며 영업손실 메우기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이는 산업통상자원부가 2026년까지 한전의 누적 적자 해소를 목표로 지난해 국회에 제출한 올해 연간 전기요금 인상 적정액(51.6원) 중 4분의 1 수준으로, 올해 분기별로 이런 수준의 인상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서민 부담을 최소화해야 하는 딜레마에 더해 내년 4월 국회의원 선거를 앞둔 올 하반기에는 정부가 적극적으로 에너지 요금 인상에 나서기 어려운 분위기가 조성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가스공사는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이 대폭 증가하면서 최대치를 기록했음에도 민수용 미수금이 급증하면서 재무구조가 악화됐다.


공사의 연결 기준 작년 한 해 영업이익은 2조4634억원으로 전년 대비 99% 증가했다. 매출은 51조7243억원으로 전년 대비 88%, 순이익은 1조4970억원으로 55% 늘었다.


4분기만 떼놓고봐도 영업이익은 1조1180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70.7% 급증했다. 4분기 매출과 순이익은 각각 18조1576억원과 8877억원을 기록했다.


그러나 작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국제 LNG 가격이 폭등했음에도 서민 경제 안정을 위해 도시가스 요금 인상을 억제하면서 공사의 미수금이 급증했다. 가스공사의 지난해 말 민수용(주택용·영업용) 가스요금 미수금은 8조6000억원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연결기준 부채비율 또한 전년 대비 121%포인트 증가한 500%, 별도 기준 부채비율은 같은 기간 190%포인트 오른 643%를 기록했다.


가스공사의 실적은 그야말로 '빛 좋은 개살구'다. 사실상 누적 적자가 심각한 자본 잠식 상태인데 장부상으로는 영업이익이 발생한 착시 효과를 냈기 때문이다.


이는 천연가스를 싸게 팔아서 생긴 적자를 손실로 처리하지 않고 나중에 돌려받을 수 있는 미수금, 즉 자산으로 처리하는 특이한 회계방식에서 기인한다.


예를 들어 공사가 80억원에 구매한 천연가스를 40억원에 팔 경우 적자분인 40억원을 자산으로 분류하고 나중에 가스요금 인상을 통해 회수하는 방식이다.


이로써 한전과 가스공사의 '억대 연봉 잔치'가 다시 도마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국내 에너지 수급을 책임지는 양대 기업이 적자더미에 오르는 지경에 처했음에도 정작 두 기업은 그들만의 잔치를 벌이고 있었다는 비판이 불가피할 듯 보인다.


지난 16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이주환 의원이 한전과 가스공사에서 제출받은 '연도별 수익성 및 복리후생 현황' 자료에 따르면 한전은 3589명, 가스공사는 1415명이 1억원 이상 연봉을 수령하고 있었다.


한전 적자 33조원, 가스공사 미수금 9조원에 달하면서 대표적인 에너지 공공요금인 전기·가스요금 인상 압박도 커지고 있는 모양새다.


다만 이번 겨울 '난방비 폭탄' 이슈가 국가적 현안으로 떠오르면서 당장 2분기 요금 인상마저 확신할 수 없는 여론이 조성됐다. 또한 또 내년 4월 국회의원 선거를 앞둔 올 하반기에는 정부가 적극적으로 에너지 요금 인상에 나서기 더욱 어려운 분위기가 조성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유준상 기자 (lostem_bass@daum.net)
기사 모아 보기 >
0
0
유준상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