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작년 지재권 무역수지, 1년만에 적자전환


입력 2023.03.24 12:00 수정 2023.03.24 12:00        고정삼 기자 (jsk@dailian.co.kr)

13억3천만 달러 적자

ⓒ한국은행

지난해 우리나라 지식재산권 무역수지가 1년 만에 다시 적자로 돌아섰다.


2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2년 지식재산권 무역수지(잠정)'에 따르면 우리나라 지식재산권 무역수지는 13억3000만 달러 적자를 냈다. 지난 2021년 1억6000만 달러 소폭 흑자를 기록했지만, 1년 만에 다시 적자전환했다.


유형별로 살펴보면 산업재산권이 26억2000만 달러 적자를 보였다. 특허와 실용신안권(-18억7000만 달러)을 중심으로 적자를 냈다. 저작권은 문화예술저작권(6억 달러)과 연구개발 및 소프트웨어(SW) 저작권(9억2000만 달러)이 모두 흑자를 기록했다.


유형별 지식재산권 무역수지 그래프.ⓒ한국은행

기관별로는 국내 대기업이 35억9000만 달러, 중소·중견기업이 8억 달러 흑자를 나타냈다. 반면 외국인투자 대기업과 중소·중견기업은 각각 1000만 달러, 58억1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산업별로는 제조업이 1억2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이중 자동차·트레일러(12억6000만 달러), 전기전자 제품(4억5000만 달러) 등이 흑자를 보였다. 서비스업은 15억5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사업시설 관리 및 지원업이 4억8000만 달러 적자를 냈다. 이 밖에도 도매 및 소매업(-4억1000만 달러), 정보통신업(-4억 달러) 등이 적자를 보였다.


거래 국가별로는 미국이 19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고, 영국(17억3000만 달러), 일본(3억7000만 달러) 등도 적자를 나타냈다. 반면 베트남(17억1000만 달러), 중국(10억3000만 달러) 등에서는 흑자를 보였다.

고정삼 기자 (jsk@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고정삼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