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진 장관 시흥정수장 방문
환경기초시설 탄소중립 확대 논의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27일 경기도 시흥정수장을 방문해 재생에너지 활용실태를 파악하고 전국 환경기초시설로 탄소중립을 확대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시흥정수장은 태양광과 에너지저장장치 설치 등으로 정수장에서 소비하는 전기 사용량보다 더 많은 재생에너지를 생산하고 있다.
정수장 운영을 위한 전기 사용으로 온실가스를 연 764t을 배출하고 있으나, 재생에너지 발전을 통해 온실가스를 연 854t을 감축함으로써 탄소중립률이 111.8%에 달한다.
올해는 추가로 빅데이터 기반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공정제어 체계를 도입했다. 이를 통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추가로 온실가스를 감축할 예정이다.
환경부는 2010년부터 10년 동안 상·하수도 등 환경기초시설 내 306개 재생에너지 시설을 설치하고 연간 3만2000t의 온실가스를 감축하고 있다.
올해는 공공폐수처리시설, 위생매립장 등 환경기초시설에 90개 태양광, 수열 발전시설을 설치해 추가로 연 1만3000t의 온실가스를 감축할 예정이다.
앞으로는 온실가스 감축 시설 지원항목에 에너지저장장치를 추가한다. 재생에너지의 간헐적인 발전 방식을 보완하는 한편, 재생에너지 생산에 더해 환경기초시설 에너지 효율 개선을 위한 설비 지원도 확대할 계획이다.
한편, 지난 21일 정부가 발표한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안)’에 따르면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통해 발전 부문 온실가스 추가 감축량 확보가 필요한 상황이다.
환경부는 재생에너지 보급 추진단을 설치해 소관 재생에너지 확대 사업을 최대한 발굴할 계획이다.
더불어 환경기초시설 등 공공부문에서 선도적인 본보기를 마련하고, 민간 재생에너지 설치 전 과정에 대한 지원도 확대한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탄소중립을 위해서 재생에너지 확대가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앞으로 환경기초시설이 탄소중립에 앞장서는 한편 민간이 재생에너지를 좀 더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모범사례를 확산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