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위, 9월 ‘필수품목 지정·운영 제도’ 정비 방안 발표
정부‧가맹점주 필수품목 축소 요구…주요 식재료 마진 정상화 검토
식재료, 인건비 상승 등으로 수익성 악화를 우려하고 있는 외식 프랜차이즈업계가 이번에는 필수품목 범위를 놓고 딜레마에 빠졌다.
공정거래위원회가 본격적인 필수품목 가이드라인 제정에 나선 가운데 수익 구조 개편에 대한 고민이 큰 상황이다.
공정위는 오는 9월 '필수품목 지정·운영 제도' 정비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또 최근에는 '2023 가맹분야 실태조사'에 착수했다. 총 21개 업종의 200개 가맹본부와 1만 2000개의 가맹점사업을 대상으로 실시하며, 11월 결과를 발표한다.
필수품목은 가맹점주가 반드시 가맹본부를 통해 구매해야 하는 품목이다.
과거 일부 외식 프랜차이즈 가맹본부가 오너의 친인척이 있는 가족회사에서 만든 원료를 필수품목에 포함시켜 이익을 챙겨주는 행위 등으로 논란이 된 바 있다.
필수품목은 국내 외식 프랜차이즈 가맹본부의 핵심 수익원이다. 미국, 일본 등 다른 나라의 경우 가맹점으로부터 받는 로열티를 주요 수익원으로 하지만 국내 프랜차이즈는 가맹점에 공급하는 필수품목을 통해 마진을 취하는 구조다.
그간 필수품목 범위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가맹본부는 브랜드 통일성을 위해 필수품목 지정을 강조하지만 가맹점은 범위가 과도해 가맹점의 이익을 침해한다며 맞서왔다.
그러다 이번에 공정위가 필수품목에 대한 가이드라인 제정에 나서면서 외식업계를 중심으로 그 범위를 놓고 셈법이 복잡한 상황이다.
현재 공정위와 가맹점의 주된 요구는 필수품목의 범위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가맹점주의 수익을 확대하고 이를 통해 소비자판매 가격 안정 효과도 누리겠다는 전략으로 분석된다.
특히 고령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는 가운데 안정적인 가맹점 모델을 정착시켜 은퇴자들의 이모작 인생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가맹사업을 육성하겠다는 전략으로도 읽힌다.
반면 가맹본부 입장에서는 필수품목이 수익과 직결되는 만큼 가능한 범위는 넓게 마진은 크게 유지하는 것을 선호하고 있다. 다만 필수품목이 과도할 경우 가맹점 매출이 줄어들 수 있어 가맹점주와 동반 성장이 가능한 수준에 대한 논의를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업계에서는 공정위 가이드라인이 발표되기 전에 필수품목 범위와 마진율을 개선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다.
필수품목 범위를 넓게 하고 마진을 줄이는 방식과 범위를 좁히는 대신 마진을 늘리는 방식이 대표적이다.
업종마다 필수품목 개수와 마진이 다르기는 하지만 최소 현재의 수익성을 유지하는 수준으로 범위와 마진폭 조정에 공을 들이는 모양새다.
외식 프랜차이즈업계 한 관계자는 “라면 등 식품에 이어 최근에는 치킨 같은 외식업종으로 가격 인상 자제 압박이 심화되고 있어 무엇보다 공정위의 필수품목 가이드라인에 대한 부담이 크다”면서 “최근 몇 년 간 이익률을 기준으로 삼아 필수품목 범위와 마진을 조정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가맹점주나 공정위 모두 필수품목 범위를 좁히라는 요구가 거센 상황”이라며 “가능하면 범위를 줄이면서 그간 본사가 감당했던 주요 식재료에 대한 마진을 정상화하는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하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