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다음 한미일 정상회의, 한국서 희망"
대통령실 "한국서 열리는 게 자연스러워"
한·미·일 정상이 지난 18일(현지시각) 미국 대통령 별장 '캠프 데이비드'에서 열린 첫 단독 3국 정상회의에서 '3국 정상회의 연례화'에 합의한 가운데, 두 번째 3국 정상회의는 한국에서 개최되는 방안이 유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첫 3국 정상회의는 미국에서 개최됐고, 일본이 2차 회의를 한국에서 여는 데 대해 특별히 반대하지 않는 만큼, 한국 개최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나온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3국 정상회의 후 진행한 공동기자회견 모두발언에서 "오늘 우리 세 정상은 처음으로 한·미·일 단독 정상회담을 갖고 한·미·일 협력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며 "다음에는 한국에서 우리 세 정상이 다시 만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20일 새벽 귀국 직후 트위터를 통해서도 "두 정상을 모시고 다음 한·미·일 정상회의를 한국에서 열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시기는 내년 상반기가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4월 한국 총선과 11월 미국 대선 등이 굵직한 정치적 일정이 예정돼 있는 만큼, 적절한 시기는 3국 간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최종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20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한·미·일이 공식적으로 정상회의를 연 것은 처음이지만, 지난 5월 일본 히로시마에서 (G7 정상회의 계기로) 한·미·일 정상회의가 열렸고, 이번에 (미국 대통령 별장이 있는) 메릴랜드주에서 (3국 정상회의가) 열렸기 때문에 다음에는 한국에서 열리는 게 자연스럽다"고 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이날 데일리안과의 통화에서 "캠프 데이비드에서 윤 대통령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를 만났을 때 한국에서 2차 회의를 개최하고 싶다는 의사를 전달했고, 양국 정상이 반대하지 않았으니, 공동기자회견 모두발언과 트위터를 통해 그렇게 밝힌 것"이라고 했다.
또 다른 대통령실 관계자는 개최 장소와 관련해 "미국 캠프 데이비드와 같이 외교적·역사적 의미 부여가 가능하고 3국 정상이 만나서 흉금을 터놓을 수 있는 적절한 곳을 물색할 것"이라고 했다.
한편 윤 대통령은 오는 21일 오전 9시부터 '을지 국가안전보장회의(NSC)'와 '을지 국무회의'를 주재한다. 특히 윤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에서 한·미·일 정상회의 결과 및 성과와 관련해 대국민 메시지를 낼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