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인뱅 대출 손실처리 1700억…몸집 불리는 중·저신용 리스크


입력 2023.09.25 12:12 수정 2023.09.25 12:19        김효숙 기자 (ssook@dailian.co.kr)

대손상각비 1년 만에 네 배 넘게 증가

고금리에 연체 늘어나며 비용 부담↑

케이뱅크(왼쪽부터)와 카카오뱅크, 토스뱅크 본사 전경. ⓒ각 사

인터넷전문은행이 고객에 내준 대출에서 앞으로 돌려받지 못할 돈으로 보고 손실로 떠안은 비용이 한 해 동안에만 네 배 넘게 불어나며, 올해 들어 반년 동안만 1700억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금리 충격파에 대출을 갚지 못하는 서민들이 많아지면서 손실 비용도 몸집을 불리는 모양새다.


그럼에도 인터넷은행들로서는 정부가 요구한 중·저신용자 대출 목표를 채워야 하는 숙제 탓에 앞으로 비용 부담이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카카오·케이·토스뱅크에서 올해 상반기 발생한 대손상각비는 총 168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45.6% 증가했다. 지난해 연간 기록과 비교해도 103.0% 늘며 두 배 넘게 불어났다.


대손상각비는 금융사가 대출을 내줬지만 이를 돌려받지 못하고 손실 처리한 비용이다. 대손상각비가 확대됐다는 것은 금융사가 회수를 포기해야할 만큼 차주의 경제적 사정이 나빠진 대출이 늘고 있다는 뜻이다. 아울러 금융사 입장에서 대출 리스크 관리에 실패한 케이스가 많아지고 있다는 의미로도 볼 수 있다.


은행별로 보면 케이뱅크의 올해 상반기 대손상각비가 79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69.3% 증가했다. 카카오뱅크 역시 439억원으로 같은 기간 대비 84.7% 늘었다. 지난해 초부터 본격 대출 영업을 시작한 토스뱅크도 453억원으로 급증했다.


인터넷전문은행 대손상각비 추이. ⓒ데일리안 김효숙 기자

부실 대출 정리를 위한 인터넷은행들의 출혈이 커지고 있는 배경에는 고금리 여파가 자리하고 있다. 인터넷은행들은 금융당국과 약속한 목표치를 달성하기 위해 중·저신용 대출 공급을 늘리고 있는데 높아진 금리로 대출 상환에 차질을 빚는 차주가 많아지면서 은행의 여신 건전성에도 악영향을 주는 모습이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4월부터 올해 1월까지 사상 처음으로 일곱 차례 연속 기준금리를 인상했다. 이중 7월과 10월은 기준금리를 한 번에 0.5%포인트(p) 올리는 빅스텝을 단행했다. 이에 따른 현재 한은 기준금리는 3.50%로, 2008년 11월의 4.00% 이후 최고치다.


토스뱅크의 올해 6월 말 고정이하여신(NPL)비율은 1.26%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13%p 급등했다. 케이뱅크 역시 0.98%로 같은 기간 대비 0.38%p 상승했다. 카카오뱅크의 NPL비율도 0.42%로 0.15%p 올랐다. NPL비율은은 연체가 3개월 넘은 부실채권 비율을 뜻한다.


연체율로 보면 토스뱅크가 1.56%로 1.41%p 치솟았다. 케이뱅크는 0.86%로, 카카오뱅크는 0.52%로 각각 0.34%p와 0.19%p씩 연체율이 높아졌다.


건전성 지표가 나날이 악화하다보니 은행들이 부실에 대비해 쌓는 충당금 몸집도 커지고 있다. 인터넷은행 3사가 올해 상반기 적립한 충당금전입액은 392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2.3% 증가했다.


문제는 인터넷은행들의 비용 부담이 더 커질 수 있다는 점이다. 올해 지난해보다 더 높은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을 달성해야하기 위해 대출 공급을 늘려야해서다. 올해 카카오·케이·토스뱅크가 각각 달성해야 하는 중저신용 목표치는 각각 30%, 32%, 44%다. 6월 말 기준으로 보면 카카오뱅크 27.7%, 케이뱅크 24.0%, 토스뱅크 38.5%로 모두 미달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인터넷은행의 중·저신용 대출 공시 기준을 일부 완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강경훈 동국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는 지난 2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인터넷전문은행법 제정 5주년 기념 토론회'에서 "현재 인터넷은행의 중·저신용 대출 비중 목표치는 잔액을 기준으로 하는데 대출을 내줘도 중도상환하면 수치가 바뀌는 등 비중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며 "경기 여건을 반영한 탄력적인 신규 취급액 기준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효숙 기자 (ssook@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김효숙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