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릿지론 단계 NPL 매입용 자금
저축은행업계도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 정상화를 위해 10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하기로 했다.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저축은행 10곳은 내달 중 1000억원 규모의 PF 지원 펀드를 조성할 계획이다.
앞서 금융지주 산하 캐피털사 등이 조성한 4000억원을 합치면 5000억원 규모의 제2금융권 자체 '배드뱅크'가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펀드 자금은 부동산 경기 침체에 따라 본 PF로 넘어가지 못하고 있는 브릿지론 단계의 부실채권(NPL)을 매입해 재매각하는 데 주로 쓰일 전망이다.
브릿지론은 신용도가 낮은 시행사가 본 PF 대출을 받기 전 토지대금 마련에 필요한 자금을 마련하기 위한 단기 대출로 통상 만기가 짧고 금리가 높아 제2금융권이 주로 취급한다.
저축은행업계가 대규모 펀드를 조성하는 이유는 부동산 경기 침체가 지속되며 PF 부실 우려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은행이나 보험은 선순위이거나 시공사가 양호한 사업장을 중심으로 PF 사업에 참여했지만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은 후순위와 브릿지론처럼 수익률은 높되 리스크가 큰 물량 위주로 소화해 부실 우려가 지속해서 지적돼왔다.
한국신용평가(한신평)가 이달 발표한 '저축은행업 피어 리포트'에 따르면 한신평이 신용등급을 보유한 SBI·웰컴·KB·JT친애·IBK·BNK·우리금융저축은행 등 8개사의 브릿지론 고정이하여신(연체 3개월 이상)비율은 지난해 9월 1.2%에서 3월 말 5.4%로 급등했다.
부실채권으로 분류되기 직전 단계인 요주의이하여신(연체 1∼3개월) 비율은 지난해 9월 23.7%에서 올해 3월 말 32.9%로 6개월 새 9.2%포인트(p) 높아졌다.
본 PF 고정이하여신비율은 같은 기간 1.4%에서 2.8%로 약 2배로 올랐다.
8개사가 다루는 브릿지론 중 절반 이상(55.9%)이 만기 연장을 했고 2회 이상 연장한 비중도 19.2%나 됐다.
지난해 연 5∼6%였던 대출금리가 만기 연장 시 9∼11%로 상승하면 차주 이자 부담이 가중되는데 만기 연장한 사업장 수가 많아지면서 사업성 저하 우려가 나오는 상황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저축은행의 부동산 PF 연체율은 4.61%로 지난 3월(4.07%)에 비해 0.54%p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