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대학 졸업생 절반 "올해 대졸 채용시장 어려워"


입력 2023.11.22 06:00 수정 2023.11.22 06:00        조인영 기자 (ciy8100@dailian.co.kr)

2023년 대학생 취업인식도 조사…"대졸 채용시장 어려움 지속"

소속 학과 졸업생 예상 취업률ⓒ한국경제인협회

올해 대학생들의 졸업생 예상 취업률은 절반에 못 미치는 49.7%에 그칠 것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는 22일 전국 4년제 대학 재학생 및 졸업(예정)자 3224명을 대상으로 '2023년 대학생 취업인식도'를 조사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대학생들은 취업 준비 과정의 어려움으로 경력직 선호 등에 따른 신입채용 기회 감소(26.3%), 원하는 근로조건에 맞는 좋은 일자리 부족(22.6%), 체험형 인턴 등 실무경험 기회 확보 어려움(17.2%) 등을 꼽았다. 물가 급등에 따른 취업준비 비용 부담 증가(13.1%) 등도 있었다.


대학생 30.3%는 올해 대졸 신규채용 환경이 ‘작년보다 어렵다’고 응답했다. 이는 지난해 조사에서 ‘작년보다 어렵다’고 응답한 비중(29.6%)보다 0.7%p 높은 수준이다.


취업난이도가 ‘작년과 비슷’하다는 응답 비중은 올해 25.9%로 지난해 조사의 29.0%보다 3.1%p 감소했으며, ‘작년보다 좋다’는 응답 비중(3.6%)은 지난해 조사(5.6%)보다 2.0%p 줄어, 올해 채용 시장이 전년보다 나아지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됐다.


4학년 또는 졸업 예정이거나 졸업한 대학생 10명 중 6명(57.6%)은 구직 기대가 낮은 소극적 구직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소극적 구직자 비중은 구직활동 실태 응답 중 의례적으로 구직하고 있음(28.2%), 거의 안 함(22.7%), 쉬고 있음(6.7%)을 합한 수치다. 반면 적극적으로 구직하고 있다는 응답 비중은 10명 중 2명(21.1%) 수준에 불과했다.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이유로는 자신의 역량, 기술, 지식 등이 부족해 더 준비하기 위해(48.5%)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일자리 부족(38.4%)을 꼽았다.


일자리 부족과 관련해서는 구체적으로 전공 분야 또는 관심 분야의 일자리가 없거나 부족해서(16.9%), 구직활동을 해도 일자리를 구하지 못할 것 같아서(13.6%), 적합한 임금수준이나 근로조건을 갖춘 일자리가 없거나 부족해서(7.9%) 등이었다.


대학생 취업체감도(%)ⓒ한국경제인협회
올해 적극적 구직자 중 서류합격, 10명 중 3명 불과

올해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하고 있는 대학생들은 평균 6.0회 입사 지원했는데, 이 중 서류전형 합격 횟수는 평균 1.7회로 서류전형 합격률이 평균 28.3%에 불과했다.


이는 작년 서류전형 합격률(35.8%)보다 7.5%p 낮은 수준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올해 입사지원 횟수는 1~5회(69.3%), 6~10회(17.0%), 11~15회(5.7%), 21~25회(2.8%), 26회 이상(2.8%), 16~20회(2.4%) 순이었다.


서류전형 합격 횟수는 1회(31.1%), 모두 불합격(21.2%), 2회(16.5%), 3회(11.8%), 5회 이상(7.1%), 4회(5.7%) 등이었다.


대학생 10명 중 7명(66.1%)은 취업준비기간으로 ‘6개월 이상’이 소요될 것이라고 응답했다. 이 중 ‘1년 이상’으로 내다본다는 응답 비중은 37.1%에 달했다.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부가조사에 따르면, 올해 5월 기준 청년(15~29세) 미취업자 가운데 1년 이상 장기 미취업청년 비중 45.4%로, 지난 5년간 2.4%p(2018년 43.0% → 2023년 45.4%) 증가했다.


4학년 또는 졸업(예정) 대학생 구직실태(%)ⓒ한국경제인협회
청년 취업난 해소 위해 ‘규제 혁파’, ‘미스매치 해소’ 등 필요

대학생들은 청년 취업난 해소를 위한 정책적 개선과제로 노동, 산업 분야 규제 완화 등 기업 고용여력 확충(25.9%)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진로지도 강화, 산학현장실습 지원 확대 등 미스매치 해소(23.3%), AI, 빅데이터 등 4차산업 분야 직업훈련 지원 확대(17.9%), 기존 정규직/노조에 편중된 노동시장 이중구조 완화(17.1%), 공공/단시간 일자리 확대(14.1%) 순으로 답했다.


추광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경기침체가 지속되면서 기업들의 신규 일자리 창출 여력이 위축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정부와 국회가 규제혁파, 노동개혁 등으로 기업 활력을 제고하고, 일경험 기회 및 직업훈련 확대 등으로 청년들의 취업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올해 대학생 구직자 입사지원 횟수(%)ⓒ한국경제인협회

조인영 기자 (ciy810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