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서울 독거노인, 치매 사각지대…공적 돌봄체계 구축 시급, 신청해야만 제도 수혜 누리는 것도 문제"


입력 2023.11.29 04:38 수정 2023.11.29 04:38        김하나 기자 (hanakim@dailian.co.kr)

서울시 치매사망률 통계, 2022년 인구 10만 명당 17.1명…도봉구 40명으로 1위

등록 치매환자 가운데 독거환자 비율 32.3%…전문가 "지자체, 지역 주민, 정부 힘 합쳐야"

"혼자 사는 중장년 조기 치매 올 수 있어, 빨리 발견하고 예방 중요…인력·전문성·연계성 부족"

"치매 걸리기 전 추후 의사판단 못할 경우 어떤 대리인 지정하면 좋을 지 계약 준비하는 것도 방법"

독거노인ⓒ게티이미지뱅크

인구 고령화와 함께 서울 내 치매로 인한 사망자 수가 10년간 2.7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현재 서울에서는 치매 환자 치료를 돕는 지원센터 15곳을 운영하고 있지만 인력과 전문성이 부족한 데다 다른 기관과 유기적으로 연계되지 않아 특히 독거 노인이 '치매 사각지대'에 놓일 수 있다는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치매는 경증일 때 잘 발견해야 생활시설로 가는 사태를 막을 수 있는 만큼 지자체와 지역 주민, 정부가 힘을 합쳐 공적 돌봄 체계를 구축하는 게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28일 서울시 공공데이터에 나타난 '서울시 치매 사망자수 및 사망률 통계'에 따르면 2012년 인구 10만명당 5.9명에 불과했던 치매 사망률은 2022년 17.1명으로 2.89배 높아졌다. 또 1년 전인 2021년 전과 비교해봐도 5.5명 증가한 수치다. 치매는 주로 알츠하이머 등 퇴행성 뇌질환이나 뇌혈관 질환으로 뇌조직이 손상되면서 일어나는데, 고령화로 인해 수명이 늘고 치매 환자가 늘면서 사망률도 가파르게 올라가는 것으로 분석된다.


자치구별로 보면, 도봉구의 인구 10만명당 치매 사망률은 40.0에 달했다. 이어 강북구(30.7·2위)와 중구(30.2·3위), 종로구(29.9·4위), 용산구(29.2·5위), 중랑구(29.2·5위) 등이 뒤를 이었다. 혼자 사는 노인 인구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자치구의 경우 치매율이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강남구(8.0·25위)·관악구(8.9·24위)·노원구(9.5·23위)·금천구(9.6·22위)·서초구(9.9·21위) 등은 대체로 치매 사망률이 낮았다.


독거노인ⓒ게티이미지뱅크

전문가들은 1인 가구 증가를 반영해 독거노인 치매환자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정부와 지자체는 2017년 9월부터 전국에 치매안심센터 256개소를 설치했는데, 등록 치매환자 가운데 독거 환자의 비율이 32.3%로 나타났다. 이들은 치매 증상이 와도 돌봐줄 가족이 없어 더 큰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허준수 숭실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지자체와 지역 주민, 정부가 힘을 합쳐 독거 어르신을 도와줄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는 게 중요하다"며 "우리나라 모든 복지제도가 신청주의라 신청해야만 제도의 수혜를 누릴 수 있는 것도 문제이다. 치매는 극복할 수 있는 질환인 동시에 인지 활동을 통해 예방을 해야 하는 만큼 경증일 때 잘 발견해야 생활시설로 가는 사태를 막는 것이 중요하다. 지역 사회에서 잘 돌볼 수 있도록 공적 돌봄 체계를 구축하는 게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이수진 서울시복지재단 사회적고립가구지원센터 센터장은 "정확한 조사를 통해 독거노인 치매환자와 관련한 통계와 데이터가 마련돼야 한다"며 "혼자 사는 중장년의 경우 고립감이 높아지면서 치매 유병률이 높다보니 50대의 나이에도 조기 치매가 올 수 있는데 빨리 발견해 진단하고 늦출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치매는 사후보다 예방을 하는 게 오히려 중요하다"며 "스스로 사회 참여를 통해 고립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와 함께 치매를 진단하고 각종 지원 사업과 협약병원으로 연계해 주는 치매안심센터가 서울에 15개소가 있지만 인력과 전문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온다. 허 교수는 "치매안심센터는 간접적인 서비스를 하고 잇지만, 일단 센터 자체가 부족하고 지역 보건소 산하에 있기 때문에 전문적인 인력 배치가 되지 않아 전문성이 떨어진다"고 설명했다. 이어 "치매안심센터와 노인복지관, 독거노인 종합지원센터, 보건소 등이 유기적으로 연계돼 있지 않는 점도 문제"라고 부연했다.


이 센터장은 "치매에 걸리기 전 본인이 추후 치매가 걸리는 등 의사 판단을 못할 경우 어떤 대리인을 지정해 대리인이 어떻게 해주면 좋겠다는 계약을 준비하는 방식도 고려해볼 만 하다"며 "국가가 해줄 수 있는 것도 있지만 본인 스스로 준비하고 가족이 준비해야 되는 부분도 있는데, 스스로 준비할 수 있게끔 제도적 보완이나 대책도 필요해 보인다"고 제안했다.

김하나 기자 (hanakim@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