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언론인총연합회(언총), 17일 성명 발표
대한민국언론인총연합회(이하 언총)는 지난해 12월 19일 발족한 이후 우리나라 미디어 환경의 이른바 기울어진 운동장 문제의 개선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왔다. 특히 정보 소통의 중심에 위치한 가장 강력한 언론기관인 네이버, 다음 등 포털의 뉴스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집중적으로 감시 활동을 해왔다.
뉴스제휴평가위원회를 활용하여 좌편향의 뉴스를 생산하고 유통하는 문제를 집중적으로제기해서 지난 5월 제평위 활동의 잠정 중단을 이끌어낸 것은 나름의 성과라고 할 수 있지만 안타깝게도 이후 포털 뉴스의 공정성과 관련하여 가시적인 진전은 없었다. 네이버 경영진의 자구책과 혁신 발표를 강력히 촉구했지만 이들은 현상 유지를 모색하여 진지를 파고 숨어버린 형국이다. 이들이 추구하는 현상 유지는 좌편향의 기울어진 운동장에 다름 아니다. 이제는 좀 더 근본적인 대책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 우리의 결론이다.
물론 무언가가 진행되는 듯이 보이는 것도 있다. 6월에는 네이버가 제3차 알고리즘 검토위원회을 발족하여 뉴스검색 알고리즘과 인공지능 기반 뉴스 추천 시스템을 검토하고 올해가 가기 전에 결과를 발표한다고 하고, 방통위는 지난 9월부터 네이버의 알고리즘 조정 의혹을 본격적으로 조사하고 있다. 일견 이런 흐름들은 문제 해결에 한 발 짝 다가서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알고리즘에 관한 갑론을박은 게릴라와의 시가전처럼 어려운 싸움이다. 사소한 문제를 잡아낼 수 있을지는 모르지만 알고리즘 기획자의 의도는 어떤 방식으로든 공적 규제의 칼날을 피하여 관철될 것이다.
네이버 측은 알고리즘 추천의 공정성 문제는 알고리즘 자체보다는 생산자와 사용자의 상호 작용 속에서 발생하는 측면이 크다고 말한다. 수용자의 취향을 반영한 것일 뿐 특별히 조작이 들어가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참으로 교묘하고 무책임한 논리다. 가는 길에 콜라가 많이 놓여있어 조금 마셨을 뿐인데, 이제는 가는 길마다 콜라를 깔아놓고 그게 나의 취향을 반영한 것이라고 강변하는 것과 무엇이 다른가.
포털의 추천 알고리즘은 기본적으로 이런 식으로 수용자의 취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좁히면서 필터버블에 빠지게 하는 것이다.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는 반대 의견을 우연이라도 들을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뉴스 소통의 중심에 서 있다면 공정하고 건강한 미디어 환경을 구축하겠다는 최소한의 인식을 갖추어야 하는데, 네이버, 다음 등 포털 관계자의 인식은 그렇지 못하다. 고양이에게 생선을 맡기는 꼴이다. 이런 위험하고 경박한 상황을 언제까지 방치할 것인가.
이제는 공적 통제를 좀 더 강력하고 신속하게 추진해야 한다. 제평위를 조속히 재구성하여 가짜뉴스 등 미디어의 부정행위에 대한 자율 규제 기능을 되살려야 하며, 포털 뉴스의 공정성 관리가 철저히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네이버와 다음이 직접 나서서 책임지고 기울어진 포털 뉴스 운동장을 바로 잡아야 할 것이다. 과거 제평위가 네이버와 다음이 면피할 명분을 제공하는 허울뿐인 기구라는 점이 만천하에 드러난 마당이 아닌가.
지난 11월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객관성과 신뢰성 갖춘 새로운 개선책 마련하겠다, 제평위 구성을 어떻게 해야 객관성과 합리성을 모두 갖출 수 있을지 깊이 고민하겠다고 말했다고 한다. 우리는 뉴스 소통의 문제를 네이버나 다음과 같은 민간 기업, 공정성에 관한 최소한의 인식조차 없는 민간 기업에 맡기는 것이 과연 언제까지 타당한 것인지 의심하고 있다. 그러나 일단은 최대표의 발언이 얼마나 조속히 현실화될지 지켜볼 것이다. 좀 더 혁신적이고 근본적인 처방을 내어 놓을 것이라 기대하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민간기업 네이버 자체에 대한 근본적인 처방이 이어져야 할 것이다.
2023.12.17.
대한민국언론인총연합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