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은 채권은행들의 올해 정기 신용위험평가에서 C등급 118개사와 D등급 113개사 등 총 231개사가 부실징후기업으로 선정됐다고 18일 밝혔다.
이 같은 부실징후기업 숫자는 전년 대비 46개사 증가한 것이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사태 기간(2020∼2021년) 중 부실징후기업 수가 감소했다가 지난해부터 증가추세로 전환되고 있는 모습이다.
2022년에 이어 대내외 경기부진 및 원가상승 등으로 기업의 수익성 악화가 지속되고, 올해 들어 금리상승 영향이 본격화되면서 높아진 금융비용 부담으로 연체 발생 기업 등이 증가한 데 기인했다는 설명이다.
업종별로는 부동산(22개사), 도매·상품중개(19개사), 기계장비(18개사), 고무·플라스틱(18개사), 금속가공(18개사) 등 순으로 부실징후기업 수가 많았다.
전년 대비 고무·플라스틱(+11개), 자동차(+8개), 부동산업(+7개), 도매·상품중개업(+6개) 등에서 상대적으로 큰 폭 증가했다.
이들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금융권 신용공여 규모는 지난 9월 말 기준 2조7000억원 수준으로 국내은행의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부실징후기업 선정에 따른 은행권의 충당금 추가 적립 추정액은 약 3500억원이며, 이에 따른 BIS 비율 변화폭 또한 미미한 수준이다.
금감원은 이번 신용위험평가 결과에서 부실징후기업으로 선정된 기업들에 대해서는 워크아웃이나 회생절차 등을 통해 신속한 경영정상화 및 부실정리를 유도할 방침이다. 또 영업력은 있으나 금융비용 상승으로 일시적 유동성 애로를 겪는 기업에 대해 신속금융지원, 프리워크아웃 등을 통한 위기극복을 지원할 계획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경영위기 중소기업이 유관기관 지원을 폭넓게 받도록 은행권이 거래기업에 지원제도를 안내·추천하고 공동 금융지원하도록 유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