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은행권 캠코에 넘긴 부실채권 1400억…기업 부문 두 배 급증


입력 2024.02.06 06:00 수정 2024.02.06 06:00        고정삼 기자 (jsk@dailian.co.kr)

지난해 1374억 매각…전년比 30%↑

고금리·경기 부진에 기업 부실 가속화

금융지원 종료, 신용 리스크 확대 우려

금융 부실 이미지. ⓒ연합뉴스

국내 은행권이 지난해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에 팔아치운 부실채권 규모가 1400억원에 육박하면서 전년 연간 규모를 훌쩍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업 부실채권 매각 규모가 두 배 가까이 불어났는데, 경기 침체로 벼랑 끝에 내몰린 기업들이 증가하는 모습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금융지원이 종료되면서 이 같은 추세가 가팔라질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캠코가 지난해 국내 은행권으로부터 매입한 부실채권(무담보 및 담보·보증부) 규모는 1374억원으로 전년보다 29.2%(311억원) 늘었다. 캠코는 금융사의 부실채권을 매입함과 동시에 원리금 상환 유예·연체 이자 감면 등의 지원으로 공적 채무조정을 진행한다. 이에 따라 감면된 금액을 차주가 최종 상환하면 관련 채권을 소각하는 방식이다.


캠코가 은행권으로부터 인수한 부실채권에서 주목되는 부분은 기업 부문이 가계보다 빠르게 불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은행권은 지난해 캠코에 가계 부실채권 710억원어치를 팔아치웠는데, 이는 전년 대비 6.8% 늘어난 수준에 그친다. 반면 기업 부실채권은 664억원어치를 매각하면서 전년보다 66.4%나 증가했다.


캠코는 지난 2022년 은행권으로부터 665억원 규모의 가계 부실채권을 인수했다. 이는 전년 대비 5배 이상 늘어난 수준이다. 하지만 지난해 들어서는 증가 폭이 크게 감소했다. 반면 같은 기간 기업 부실채권은 399억원 규모로 인수하면서 전년 대비 34.3% 늘었고, 지난해 들어서는 증가 폭이 이보다 확대된 것이다.


이는 고금리와 이에 따른 경기 침체 여파로 은행권의 중소기업 대출에서 부실화가 빠르게 진행된 탓으로 풀이된다. 한국은행은 지난 2021년 8월 0.50%였던 기준금리를 지난해 1월 3.50%로 급격히 끌어올렸다. 이후 금리 동결 기조를 지속하고 있지만 여전히 중소기업들이 감당하기엔 높은 수준이 유지되고 있다. 고금리에 경기 부진도 지속되면서 매출이 감소하면서 원리금 상환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경영 여건이 악화한 기업들의 사정은 다른 통계 지표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한은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어음부도율(금액 기준)은 0.23%로 전년(0.10%)보다 두 배 넘게 뛰었다. 이는 2001년(0.38%) 이후 22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어음부도율은 지난 2019년 0.08%, 2020년 0.06%, 2021년 0.07% 등으로 0.10%대를 밑돌았는데, 2022년부터 가파르게 오르기 시작했다. 지난해 어음부도 금액도 5조3484억원으로 전년 대비 2.4배 급증했다. 이는 2014년 6조232억원 이후 9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기업대출 연체율도 지난해 11월 말 기준 0.52%로 전월 대비 0.04%포인트(p) 상승했다. 이중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은 0.61%로 전월보다 0.05%p 오르며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다.


특히 정부가 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은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시행한 금융지원 조치가 지난해 9월부터 종료된 점도 우려를 가중하는 대목이다. 대상 중소기업들이 분할 상환을 시작했는데, 그간 금리가 급격히 오른 만큼 이자 상환 부담도 커졌기 때문이다.


실제 캠코의 최근 5년간 은행권 부실채권 인수 추이를 살펴보면 ▲2018년 1185억원 ▲2019년 3279억원 ▲2020년 2495억원 ▲2021년 417억원 ▲2022년 1063억원 등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 발발 이후 감소세를 보이며 400억원대까지 줄었던 매입 규모가 2022년부터 두 배 이상 증가했고 지난해까지도 추세가 지속되고 있다.


정태준 유안타증권 연구원 "코로나19를 지나면서 급격하게 증가한 기업대출이 금리 상승과 함께 부실화되고 있다"며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취약기업들의 차입금 비중도 대기업과 중소기업을 막론하고 모두 코로나19 이전보다 높아진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다만 그는 "이익을 활용한 상환능력이 아닌, 부채비율이나 유동비율과 같이 보유 자산을 활용한 상환능력은 오히려 개선됐다"며 "결국에는 저금리 시절 확보한 자산으로 고금리의 부담을 상환하는 흐름이 나타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고정삼 기자 (jsk@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