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건설수주액 –19.1%, 5년 만에 감소
세제 혜택에도 악성 미분양 증가세, 전국 1만1363가구
“주택 공급 부담 큰 시기…장기적으로도 수요 감소 우려 커”
부동산 시장 침체로 지난해 건설업계 수주 실적이 5년 만에 감소세로 돌아선 가운데 올해도 부정적인 전망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수익성 저하로 주택 부문 일감 확보에 건설사들도 소극적인 분위기다.
6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발표한 ‘2023년 지역별 건설수주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건설(토목·건축)수주액은 얼마로 1년 새 19.1% 감소했다.
지난해 수도권에서 발생한 수주액은 86조8000억원으로 1년 새 21.6% 감소했고, 지방의 경우 88조4000억원으로 같은 기간 16.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건축 부문 수주가 크게 감소한 탓이 컸다. 토목수주는 수도권과 지방 모두 각각 1년 동안 25.7%, 15.5% 증가하며 23조6000억원, 35조7000억원을 거뒀다.
그러나 주택 사업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건축수주는 전국적인 부진을 면치 못했다. 수도권에서는 1년 새 31.4%가 감소하며 5년 만에 최저치인 63조2000억원, 지방에서는 29.6% 감소하며 4년 만에 최저치인 52조7000억원의 수주액이 발생했다.
올해 전망도 밝지 않다. 이미 지난달 건설수주 실적은 1년 전에 비해 53.6% 급감하면서 13년 3개월 만에 최대폭으로 하락했다.
준공 후 미분양 주택 물량도 지난해부터 꾸준히 오름세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해 1월 7546가구 수준이던 준공 후 미분양 주택 수는 같은 해 12월 1만857가구까지 늘더니, 지난달 말에는 1만1363가구를 기록했다.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쌓여있다는 것은 집을 다 지어놓고도 건설사가 비용을 회수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상품이 팔리지 않고 창고에 재고가 쌓이는 것과 같은 현상인데, 이렇게 되면 건설사 입장에서는 유동성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뿐 아니라 새로운 주택 사업에 뛰어들기가 어렵다.
이를 위해 정부에서 1·10 대책으로 악성 미분양 해소를 위한 방안을 내놓았지만 당장 큰 효과를 거두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내년 12월까지 앞서 지방에 있는 전용 85㎡, 분양가 6억원 이하의 악성 미분양 주택을 매수할 경우 세제 산정 시 주택 수에서 제외하는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1주택자가 미분양 아파트를 최초 구입할 시 1가구 1주택 특례도 적용한다.
일각에서는 건설업계가 주택 사업 비중을 줄이고 사업을 다각화하는 흐름이 필연적이라고 보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부동산 경기 침체에 따른 사업 축소지만 향후 인구 및 가구 수 증가 둔화로 주택 수요 자체가 위축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창무 한양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공사비 인상에 대한 부담도 크고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도 명확하지 않아 건설사가 주택 사업에 나서기 조심스러운 상황이다”며 “준공 후 미분양 문제는 일정 시기가 되면 해소될 수 있겠지만 현재로서는 시장 상황이 침체되고 있기 때문에 공급이 위축되는 데 부담이 큰 시기”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단기적으로는 부동산 경기가 위축돼 수요와 공급이 감소되는 상황이지만 장기적으로는 가구 수 증가세가 꺾이면서 주택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는 추세로 갈 수 있다”며 “최근 5~6년 동안 2030 세대를 중심으로 가구 수가 증가하며 주택에 대한 수요가 커졌으나 앞으로는 가구 수가 크게 증가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이러한 흐름으로 건설업계에서도 구조조정이 이뤄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