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인천항 최대 현안 ‘스마트 오토밸리’ 프로젝트… “빨간불 켜졌다”


입력 2024.05.22 10:40 수정 2024.05.22 20:25        장현일 기자 (hichang@dailian.co.kr)

업계 “토지 임대료 제때 못내는 업체가 수 천억원 규모 사업 추진 불가능”

인천항 남항 역무선 부두 일대에 들어설 인천항 스마트 오토밸리 조감도ⓒIPA 제공

인천항 최대 현안으로 꼽히는 중고 자동차 수출단지(스마트 오토밸리) 조성 사업에 빨간불이 켜지면서 이 사업이 정상적으로 추진될 수 있을지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22일 IPA에 따르면 스마트 오토밸리 사업 시행사인 카마존은 최근 6개월 치 토지 임대료를 내지 않아 그동안 수차례에 걸쳐 독촉장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업체는 최초 납부 기한인 지난 3월 15일까지 토지 임대료를 내지 못하다가 2개월 뒤 2차 납부 시한에 맞춰 최근 사업 대상지 토지 임대료 6개월치 21억원을 IPA에 납부했다.


신영·중흥토건·오토허브셀카·신동아건설·리버티랜드 등 5개 회사가 함께 설립한 이 업체는 부동산 경기 악화로 사업비 조달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임대료를 제때 내지 못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항만 업계는 “토지 임대료를 제때 못 내는 업체가 어떻게 수 천억원이 투입되는 사업을 제대로 이끌고 갈 수 있겠느냐”며 회의적인 시선을 보이기 시작했다.


상황이 이런데도 IPA는 임대료가 납부된 만큼 기존 사업계획 대로 2026년 말 준공을 목표로 스마트 오토밸리 사업이 정상 추진될 수 있도록 행정 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IPA 관계자는 "다음 달까지 환경영향평가·재해영향평가·교통영향평가 등 절차를 마무리하고 인천지방해양수산청에 실시계획 승인 신청을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1단계 사업에 약 2400억원 규모의 자금이 투입된다는 점을 감안 할 때 토지 임대료도 지정된 날짜에 내지 못했던 만큼, 항만업계는 전체 공사비 조달과 사업 정상화까지 많은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사업 대상지 인근 주민들도 차량 소음·분진 등 피해를 우려하면서 계속해 우회도로 건설 등 사업추진에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어 주민 설득 절차에도 상당한 진통이 따를 것으로 보인다.


인천항 스마트 오토밸리 프로젝트는 그동안 ‘비즈니스 모델’이 민간 사업자가 수익을 낼 수 없는 구조로 짜여져 있어 실현 가능성이 없다는 평가가 꾸준히 제기돼 왔다.


특히 공사가 진행되기도 전에 본 계약 이후 곧바로 부지 임대료를 내야 하는 부분과, 사업 대상지 내 지장물 철거를 민간 사업자가 떠안아야 하는 등 불합리한 조건 등은 풀어야 할 숙제다.


항만업계 관계자는 “IPA는 사업자가 선정된 만큼 사업의 성공을 위해 끌고 가겠다는 입장도 이해할 수 있으나 민간사업자가 사업비를 마련하지 못해 좌초될 경우에 대비, 법적인 절차를 마련하는 방안도 모색해야 한다” 라고 말했다.


한편 친환경·최첨단 중고차 수출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스마트 오토밸리의 사업 대상지는 인천 남항 배후단지 39만8000㎡로 전체 사업비는 4370억원(1단계 2480억원)에 달한다.


인천항은 국내 중고차 수출 물량의 80%가량을 처리하는 무역항으로 지난해 50만2000대에 달하는 중고차 수출 실적을 기록했다.

장현일 기자 (hichang@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