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 재생원료 사용으로 신품 페트병 대비 온실가스 17톤 감축 기대
일회용품 감축 위해 페트병 아리수는 재난·단수현장 등 필수현장에만 공급
서울시가 환경의 날(6월5일)을 앞두고 서울시 수돗물인 아리수를 100% 재생플라스틱으로 만든 PET(페트)병에 담아 출시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병물 아리수에 국내 최초로 재생플라스틱 30% 를 사용한 데 이어 올해부터는 100% 재생플라스틱을 사용해 온실가스를 감축한다는 목표다.
4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올해 6월 이후 350ml 45만병, 2리터(ℓ) 20만병 등 총 65만병의 병물 아리수를 생산할 계획이다. 이를 전량 재생플라스틱으로 제작할 경우 폐플라스틱 약 16톤을 재활용할 수 있어 신생 플라스틱 대비 약 17톤의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서울시만의 대표성과 특징을 알리기 위해 뚜껑을 서울색인 '스카이 코랄'로 바꿨고, 시각장애인도 안심하고 마실 수 있도록 점자표기도 추가했다.
그동안 병물 아리수를 통한 플라스틱 줄이기 시도는 지속적으로 이뤄졌다. 우선 일회용 페트병 사용 자체를 줄이기 위해 지난 2019년부터는 병물 아리수를 재난이나 단수 등 꼭 필요한 상황에만 최소량 공급하고 있다.
페트병 제작시 플라스틱 사용량을 19g에서 14g으로 26.3%감량한 것을 시작으로 이용자 편의 개선 및 효과적인 재활용을 위해 지난 2020년부터는 무(無)라벨로 출시하고 있다. 이외에도 제조일자 인쇄 등에 화학 염료(잉크)를 사용하지 않고 친환경 레이저로 각인 처리했다.
시는 병물 아리수의 100%재생플라스틱 사용은 세계적으로도 한발 앞선 탈 플라스틱 정책이자 적극적 환경보호 방안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공공이 재생원료 사용에 앞장서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시스템을 구축한 선도 모델로 민간으로 확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환경부와 유럽연합(EU)의 재생원료 사용목표는 2030년까지 30%이며 글로벌기업인 코카콜라, 펩시 등도 2030년까지 50%사용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와 함께 서울시는 병물 아리수는 물론 상수도 시설물에도 재생원료를 사용한 밸브, PE관, PVC관 등의 도입방안도 검토해 순환경제를 더 적극적으로 실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한영희 서울아리수본부장은 "100%재생원료를 사용한 병물 아리수의 생산은 정부와 세계 도시보다 훨씬 앞선 순환경제의 모범 사례이자 자원순환 사회로 가는 지속적 행보 중 하나"라며 "앞으로도 플라스틱 감축을 위한 적극적인 재활용 방안을 추진해 2050탄소중립을 실현하는 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