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65세 이상 1천만명 시대…주민등록인구 20%가 '고령자'


입력 2024.07.12 02:42 수정 2024.07.12 02:42        김인희 기자 (ihkim@dailian.co.kr)

전체 인구 중 1000만62명 집계…여성이 남성보다 많아

'이촌향도' 영향…비수도권이 수도권보다 고령자 많아

전남에서는 4명중 1명이 노인…가장 젊은 지역은 세종

ⓒ게티이미지뱅크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주민등록인구가 1000만명을 넘어섰다. 통상 '초고령사회'를 전체 인구의 20% 이상이 65세 이상인 경우를 칭한다는 것을 보면 우리나라는 초고령사회 진입의 문턱에 서게 된 것이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10일 기준 65세 이상 주민등록인구가 1000만62명으로, 전체 주민등록인구 5126만9012명의 19.51%를 차지한다고 11일 밝혔다.


65세 이상 주민등록인구 중 남자는 442만7682명, 여자는 557만2380명이다. 여자가 남자보다 114만4698명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젊은이들의 '이촌향도'의 영향으로 고령자들은 수도권보다 비수도권에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65세 이상 주민등록인구 중 수도권 거주 인구는 448만9828명, 비수도권은 551만234명으로 비수도권이 수도권보다 102만406명 더 많다.


수도권은 권역 내 전체 주민등록인구 2604만284명 중 17.24%, 비수도권은 전체 주민등록인구 2522만8728명 중 21.84%를 65세 이상이 차지했다.


65세 이상 주민등록인구 비율을이 가장 높은 광역지자체는 전남으로 전체 인구의 26.67%로 나타났다. 이어 경북(25.35%), 강원(24.72%), 전북(24.68%), 부산(23.28%), 충남(21.80%), 충북(21.42%), 경남(21.25%), 대구(20.26%) 순이었다. 가장 낮은 곳은 세종으로 11.32%였으며 서울은 18.96%였다.


65세 이상 주민등록인구는 최근 10년간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2013년 1월 600만8757명(11.79%)으로 600만명대에 진입한 뒤 2017년 1월 703만1367명(13.60%), 2019년 12월 802만6915명(15.48%), 2022년 4월 900만4388명(17.45%)으로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저출산이 겹쳐 고령화가 더 가속화되는 현재 추세대로라면 10년 뒤인 2034년에는 전체 인구의 30%가 65세 이상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또한 경제활동인구가 감소하면서 노인 부양력도 감소해 노인 빈곤문제가 더욱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김인희 기자 (ihkim@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