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중 최초로 지난 2019년 ‘지능형 로봇산업 육성 조례’ 제정”
인천로봇랜드(사진)프로젝트가 인천시의 미래전략산업으로 채택돼 각종 지원책이 시행될 전망이다.
8일 인천도시공사(iH)에 따르면 인천시 서구 로봇랜드로 155-11에 위치한 인천로봇랜드는 76만 9281㎡ 규모로 인천경제자유구역인 청라국제도시 내에서 진행되는 프로젝트로 지난 2014년에 첫 삽을 떴다.
하지만 인천로봇랜드 사업부지에는 로봇타워와 R&D센터 뿐 사업규모에 걸맞지 않게 주변은 아직 텅 비어있는 상태다.
iH에 따르면 현재 로봇타워와 R&D센터에는 예비 창업자를 포함해 61개의 로봇관련 기업이 입주해 개발·설계·제조·시험 등 로봇의 산업적용을 위한 활동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또 로봇 체험과 전시가 이뤄지는 ‘로봇체험’관에는 제약이 따랐던 코로나 시기에도 연간 총 4033명이 방문했고, 지난해에도 6060명이 방문하는 등 뜨거운 관심을 보이고 있다.
전국 타 지자체의 로봇산업도 붐을 이루고 있다.
앞서 2009년 인천과 나란히 ‘로봇랜드’로 지정받은 마산로봇랜드는 오는 9월 개장 5주년을 맞아 입장객 60만 명을 목표로 다양한 이벤트가 한창이다.
서울 수서 차량기지에는 교통입지 중심을 내세워 로봇 아카데미와 고급인력 공급 전략의 ‘미래형 로봇실증타운’이 추진되고 있다.
대구시도 각종 재정지원과 세제혜택을 제시하며 최근 ‘국가 로봇테스트필드’ 조성계획을 발표했다.
이렇듯 국내 타 지자체에서 굵직한 로봇관련 각종 장(場)이 조성되는 분위기 속에서 ‘인천로봇랜드’도 다시 주목 받으며 타 시·도와 차별화된 로봇정책을 펴고 있다.
지자체 중 최초로 지난 2019년 ‘지능형 로봇산업 육성 조례’ 를 제정한 인천시는 로봇을 일찌감치 지역의 대표 미래 전략산업으로 정하고 다양한 지원책을 시행하고 있다.
인천시는 무엇보다 ‘인천로봇랜드’ 를 로봇산업 혁신 클러스터로 조성하고 연구·개발부터 마케팅 지원까지 원스톱으로 제공하겠다는구상이다.
이같은 맥락에서 지방공기업이자 로봇랜드 토지주인 인천도시공사(iH)가 직접 개발에 나선 전략도 관심을 끈다.
왜냐하면 보수적인 기술 자금시장 기조와 작년부터 이어지는 부동산 PF 난국을 타개하면서 사업 안정성 극대화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인천은 풍부한 국가 산업단지 등이 있어, 로봇 생산기지가 될 수 있는 기계산업의 뿌리가 튼튼하다.
특히 인천로봇랜드는 청라 경제자유구역에 위치해 있어 로봇산업의 발 빠른 글로벌화와 마케팅에 최적화된 마당으로 꼽힌다.
이와 함께 고급인력 수급과 해외진출에 어려움을 겪는 로봇기업들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특장점을 갖추고 있다.
인천도시공사의 참여로 20년 이상 축적된 도시개발 노하우를 바탕으로 핵심 앵커 스타기업 유치 마케팅과 생산·판매·고급인력 확보 등 기업경영을 위한 융복합 공간 계획·조성도 기대를 모은다.
앵커 기업을 중심으로 로봇산업 거점화 및 산업 연계로 로봇랜드가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핵심 앵커시설이 될 수 있는 스타기업의 유치와 이들의 공간니즈를 ‘맞춤형’으로 만들어진 ‘인천로봇랜드’는 로봇산업 생태계 기반으로는 단연 최적지다.
조동암 iH 사장은 “인천로봇랜드, 이미 15년 전 로봇산업 발전을 위해 지정됐다”면서 “오는 2027년이 되면 국내 대표 로봇산업의 거점이 되고 기술 인재들이 창업하고 해외로 진출할 수 있는 자유로운 마당 같은 도시 공간으로 조성될 것” 이라고 말했다.
한편 로봇시장은 광범위하고 다양한 분야와 연계한 융합산업으로 한국, 미국, 중국, 일본, 독일 등 5개 국가가 전 세계 시장의 73%를 차지하고 있다.
국내에는 약 2500여개 이상 로봇기업과 3만 명이 넘는 종사자가 근무하고 있으며 국내 대기업들도 그룹 내 로봇 계열사를 신설하거나 확장하며 다양하게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그러나 매출이 1000억 원 이상의 중견기업은 1%도 채 되지 않는 20여개에 불과하다. 나머지 99%는 중소기업에 해당한다.
아울러 국내 로봇부품의 국산화율은 44%에 불과하고, 서비스 로봇산업의 성장은 초기단계에 지나지 않는다.
대형 선도기업을 필두로 스타기업과 중소 벤처기업이 상생 협력하는 비즈니스 환경 조성도 필수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