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원화 강세에도 증시 상승 동력 제한…해외로 이탈하는 개미들


입력 2024.08.21 07:00 수정 2024.08.21 07:00        황인욱 기자 (devenir@dailian.co.kr)

원·달러 환율 단기간 1300원까지 하락 가능성

환율 하락에도 개인 7일간 코스피 2조 순매도

해외증권 보관금액 7% 급증…자금 유출 지속

원·달러 환율이 전고점 대비 44원 내리는 등 원화 강세가 관측되고 있다.(자료사진) ⓒ게티이미지뱅크

국내외 통화정책 변화로 원화가 강세로 돌아설 분위기를 보이고 있으나 증시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일 전망이다. 개인투자자들의 해외투자 선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돼 수급 변화가 크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2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원·달러 환율은 단기적으로 1300원 부근까지 하락할 가능성을 열려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전날인 20일 마감가(1333.20)보다 30원 더 떨어질 여지가 있단 전망이다.


최근 원·달러 환율은 가파르게 하락하고 있다. 지난 8일까지만 해도 1377.20원에 달할 정도로 고환율을 유지했으나 보름이 채 안되는 기간 44원이나 떨어졌다. 최근 7거래일 연속으로 하락하며 올해 3월 수준으로 내려왔다.


증권가는 한국과 미국의 통화정책 차별화가 환율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것으로 해석했다. 미국 경기 침체 우려로 연방준비제도(Fed·연준)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강화되고 있는 시점에 한국은행은 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보여 원화 강세에 영향을 미쳤다는 관측이다.


시장에선 미 연준이 연내 2차례가 아닌 3차례 금리 인하 전망으로 무게 추를 옮기고 있다. 당장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 인하는 기정사실화된 분위기다.


시카고 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지난 19일 기준 9월 FOMC에서 25bp(1bp=0.01%포인트) 인하 가능성은 77.5%, 빅 컷(한 번에 기준금리 50bp 인하) 가능성은 22.5%로 시장참여자들은 금리 인하 가능성을 100%로 보고 있다.


반면 한은이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리를 내릴 가능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투자협회가 최근 발표한 ‘9월 채권시장지표’에서 채권전문가 90%는 8월 금통위에서 금리 동결 가능성을 90%로 점쳤다.


미국 기준금리 인하 시기에 맞춰 25bp 인하 가능성도 10% 나왔으나 가계부채와 부동산 리스크 우려 등을 고려할 때 한은이 당장 금리를 내리기에는 부담스러울 것이란 의견이 우세했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미 연준의 9월 금리인하 기대감은 기정사실화되고 있지만 한은의 금리인하는 최소 10월까지 지연될 가능성이 커졌다”며 “단기적으로 한·미간 정책금리 역전 폭을 완화시킬 수 있는 기대감도 원화 강세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3개월 원·달러 환율 추이. ⓒ하나은행

원화 강세 전환에도 증시 상방 압력이 높아질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전망된다. 개인투자자의 해외주식 선호로 수급 회복이 제한적일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엔화 강세로 인한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 우려도 제기된다.


실제로 개인투자자들은 원·달러 환율 하락 현상이 나타났던 지난 7거래일(9일~19일) 동안 코스피 주식을 2조421억원 순매도 했다. 이 기간 단 하루(19일·1조2150억원)를 제외하고 코스피 주식을 정리했다.


반면 국내투자자들의 해외증권 보관금액은 지난 8일(1234억 달러) 이후 최근 집계일인 16일(1320억 달러)까지 86억 달러(7.0%)가 불어났다.


전문가들은 환율 하락이 증시 강세로 이어지는 공식이 성립되기 힘든 상황으로 보고 되레 자금 유출 압력 잔존에 따른 수급 변동 확대 가능성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고 진단한다.


한지연 키움증권 연구원은 “시장이 기존에 설명서처럼 가지고 있던 환율과 주식시장 간의 공식이 올해 잘 작동하지 않는 이유 중 하나로 국내 투자자들의 해외 주식 투자 급증으로 인한 외화 환전 수요가 구조적으로 증가했다는 것 등이 있다”고 말했다.


최보원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8·9·11월 미국과 일본에서 국채 금리, 환율, 글로벌 경기 회복 속도에 영향을 미칠 일정들이 예정돼 있다”며 “공격적 비중 확대보다 방어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황인욱 기자 (devenir@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