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PF 구조조정 이제 시작인데…은행 건설업 대출 벌써 '균열'


입력 2024.08.22 06:00 수정 2024.08.22 06:00        부광우 기자 (boo0731@dailian.co.kr)

4대銀 연체율 1년 새 0.11%P↑

수면 아래 리스크 가시화 우려도

서울의 한 건설 현장 모습.(자료사진) ⓒ뉴시스

국내 대형 시중은행들이 건설업체에 내준 대출에서의 연체율이 최근 들어 눈에 띄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생각보다 길어지는 고금리 여파에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를 둘러싼 부실이 확산하면서 대출의 질에도 균열이 이는 모양새다.


이런 와중 정부가 부동산 PF에 대한 본격적인 구조조정에 나서면서, 앞으로 불거질 리스크가 훨씬 클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말 기준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4개 은행이 건설업체에 내준 대출의 연체율은 평균 0.50%로 전년 동기 대비 0.11%포인트(p) 높아졌다.


은행별로 보면 신한은행의 건설업 대출 연체율이 0.76%로 같은 기간 대비 0.33%p 오르며 최고를 기록했다. 국민은행 역시 0.50%로, 하나은행도 0.36%로 각각 0.19%p와 0.06%씩 해당 수치가 상승했다. 조사 대상 은행들 중에서는 우리은행의 건설업 대출 연체율만 0.36%로 0.14%p 낮아졌다.


4대 은행 건설업 대출 연체율 추이. ⓒ데일리안 부광우 기자

건설업 대출에서 부실이 꿈틀대고 있는 배경에는 생각보다 길어지고 있는 고금리 여파가 자리하고 있다. 높은 금리로 인해 부동산 시장의 수요가 위축되면서 대출을 끌어 쓴 건설업계의 부담이 커지고 있어서다.


한국은행은 2022년 4월부터 지난해 1월까지 사상 처음으로 일곱 차례 연속 기준금리를 인상했다. 이중 7월과 10월은 기준금리를 한 번에 0.5%p 올리는 빅스텝을 단행했다. 이에 따른 한은 기준금리는 3.50%로, 2008년 11월의 4.00% 이후 최고치다.


특히 부동산 PF 대출은 위험의 진앙으로 꼽힌다. 부동산 PF는 건물을 지을 때 시행사가 공사비를 조달하기 위해 이용하는 금융 기법이다. 최근 태영건설이 부동산 PF 부실을 감당하지 못해 디폴트 목전까지 내몰리면서 위기감이 극에 달하기도 했다.


이에 결국 금융당국이 칼을 꺼내 들면서 긴장감은 한층 고조되고 있다. 부동산 PF 연착륙을 위해 부실 사업장에 대한 정리 작업에 착수하며 옥석 가리기가 본격화하는 분위기다. 금융당국은 부동산 PF 사업장 중 5~10%는 실제 부실 우려가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관련 사업장 전체 규모가 230조원에 달하는 현실을 고려하면 만만치 않은 위험이다.


이를 위해 금융당국이 새롭게 마련한 부동산 PF 사업성 평가 기준을 본격 적용하면 부실 우려 등급 사업장은 속출할 것으로 보인다. 다음 달부터 시행되는 부동산 PF 사업성 평가 개선안의 최초 평가 대상 사업장 규모는 전국의 약 30% 수준이다.


이렇게 되면 부동산 PF를 둘러싼 각종 우발채무가 현실화하면서, 금융권의 관련 대출 건전성은 직격탄을 맞게 될 것으로 보인다. 지금보다 앞으로의 연체 문제가 더 심각해질 수 있다는 얘기다.


다만 시중은행들의 경우 이같은 부실 여파에서 일단 빗겨서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제1금융권인 은행권의 부동산 PF는 대부분 외부 기관의 보증을 끼고 선순위 대출이 이뤄진 만큼, 부실 위험이 당장 크지는 않을 것이란 분석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부동산 PF 구조조정 과정에서 수면 아래 부실이 한꺼번에 드러나더라도 대형 은행들은 충분히 감내가 가능한 수준일 것"이라면서도 "1금융권 대출에서도 리스크 조짐이 감지되는 상황은 시장 환경이 얼마나 어려운지 보여주는 대목"이라고 말했다.

부광우 기자 (boo073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