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테러 가능성 대비해
민·관·군·경·소방 손발 맞춰
북한, 전쟁 시 항구·공항 핵공격
예고한 만큼 관련 훈련도 서둘러야
북한이 전쟁 발발 즉시 남측 주요 기반시설을 공격하겠다며 관련 훈련을 진행해 온 가운데 부산항에서 민·관·군·경·소방이 함께하는 통합방호훈련이 실시됐다.
21일 육군에 따르면, 육군 제53보병사단(이하 53사단)과 해군 제3함대사령부(이하 3함대)는 이날 2024년 UFS/TIGER 일환으로, 부산항 연안여객터미널 일대에서 유관 기관과 함께 부산항 통합방호훈련을 실시했다. UFS/TIGER는 UFS와 연계해 실시되는 육군 통제 야외기동 훈련을 통칭한다.
이번 훈련에선 53사단, 해군작전사령부 기지방호전대, 3함대 부산항만방어전대, 부산항만공사, 부산경찰청, 남해지방해양경찰청, 부산시 중구청 등 37개 유관기관 소속 300여 명이 손발을 맞췄다.
특히 최근 전쟁 사례와 북한 도발 양상을 고려해 △사이버 위기 및 다중이용시설 테러 대응 △드론 테러 대응 △해상시설 테러 대응 등 총 3부로 훈련이 진행됐다.
1부 훈련에선 부산항에 침투한 테러범이 '자동화 항만운영시스템'을 마비시킨 뒤 국제여객터미널로 도주한 상황을 가정해 진행됐다.
2부 훈련은 드론 10여 대가 항만으로 접근하는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드론 무력화, 드론 공격에 따른 화재 진압 및 부상자 응급처치·후송, 항만 일대 유류·화학물질 탐지 및 제독 등이 이뤄졌다.
마지막으로 해외 탈출을 시도하는 테러범들이 여객선을 점거하는 상황을 상정해 3부 훈련이 시행됐다.
육군은 "각 국가방위 요소들 간의 통합방위 작전 임무수행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번 훈련이 계획됐다"며 "정부 및 유관기관 간 협조체계 강화와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대테러 대응절차 숙달에 중점을 두고 진행됐다"고 밝혔다.
특히 "이번 훈련은 해안경계작전을 담당하는 53사단과 부산항만 방어를 담당하는 3함대가 훈련 준비단계부터 긴밀하게 소통함으로써 훈련 성과를 제고하고 합동작전 능력을 향상시켰다"고 강조했다.
민·관·군·경·소방 등 '국가 총력전'을 위한 유기적 운용을 점검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는 평가지만, 북한 핵미사일 공격을 가정한 훈련도 서둘러 진행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북한은 전쟁 발발 시 남측 공항, 항구 등 주요 기반시설을 겨냥해 다량의 핵미사일을 퍼붓겠다는 입장을 거듭 밝혀왔다.
이번에 통합방호훈련을 진행한 부산항의 경우, 미국 전략자산인 핵추진 항공모함·핵추진 잠수함의 기항지이기도 해 북한 핵미사일의 '0순위 타깃'으로 평가된다.
관련 맥락에서 북한은 미 항공모함 등이 한반도 인근에 모습을 드러낼 때면 단거리 탄도미사일이나 핵무인수중공격정(핵어뢰) '해일' 등으로 위협 수위를 끌어올렸다. 당시 우리 군이 탐지한 사거리 등을 감안하면 "부산항을 겨냥한 도발"이라는 게 군 안팎의 분석이었다.
북한 핵미사일의 '신뢰성'은 증명되지 않았지만, 한미동맹의 '최대 위협'으로 평가되는 만큼, 다양한 시나리오를 상정해 실기동 훈련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는 평가다.
'한반도 핵억제 핵작전 지침'을 토대로 한국 재래식 전력과 미국 핵전력을 통합·운용키로 한 한미가 고도화된 북한 핵미사일 위협을 고려한 새로운 작전계획부터 서둘러 완성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당장 이번 UFS에선 작전계획이 미비한 탓에 북한의 핵공격을 상정한 한미 훈련이 진행되지 않는다. 우리 정부 차원에서 시행되는 을지연습 일환으로 북핵 대응 훈련이 실시될 뿐이다.
폴 러캐머라 주한미군사령관은 최근 한 웨비나에서 '이번 UFS에 북한의 핵사용을 가정한 작전 시나리오가 적용되느냐'는 질문에 "아니다"며 "시나리오에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