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범 초부터 리스크로 사업 추진력 약화 가능성
대주주 적격성 문제시 M&A 등 차질…보폭 제한
지주사 지원 한계에 중장기 계획 차질 불가피
우리투자증권이 출범 초기부터 손태승 전 우리금융그룹 회장 관련 리스크와 마주하며 사업 추진력이 약화될 가능성이 거론된다. 지주사 지원 제한 가능성에 당초 목표로 한 사세 확장 계획에도 제동이 걸릴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1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손태승 전 회장 친인척의 부당대출 의혹과 관련 대주주 적격성 문제가 발생할 경우, 우리금융지주의 100% 자회사인 우리투자증권의 추가 인수·합병(M&A) 등은 제한될 가능성이 거론된다.
금융회사 지배구조법상 금융회사가 최대주주가 되려는 경우 금융위원회의 대주주 적격성 심사를 받아야 하며 최근 1년 간 기관경고 조치 등을 받은 사실이 없어야 한다.
우리투자증권이 부당대출과 직접 연루된 점도 지주사 지원에 부담 요인으로 지목된다. 최근 손 전 회장 친인척에 대한 부당대출이 우리은행 뿐만 아니라 여신을 취급하는 그룹 모든 계열사에서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는데 우리종합금융도 한국포스증권과 합병 전 대출을 내준 것이 뒤늦게 확인됐다.
신장식 조국혁신당 의원이 우리투자증권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우리종합금융은 지난 2018년 11월 손 전 회장 친인척 관련 법인에 3억원 상당의 대출을 내줬다.
해당 대출은 부동산 매입자금 용도로 대출이 이뤄졌고 금리는 연 6.5%였다. 대출은 지난 2022년 2월 말 전액 상환된 상태다.
금감원이 우리금융지주가 한국포스증권과 우리종합금융을 합병해 우리투자증권을 설립하는 과정에서 특혜 의혹 조사를 예고한 점도 회사의 신시장 진출 보폭을 제한시킬 전망이다.
금감원은 내달 초부터 우리금융지주와 우리은행을 대상으로 정기검사에 착수한다. 당국은 우리종합금융과 한국포스증권 간 합병 예비인가 과정에 금융위원장 출신 임종룡 회장의 영향력이 작용한 건 아닌지 들여다 볼 방침이다.
금감원은 우리종합금융이 증권사와 합병 방식으로 증권업을 추가하면서 종금사 주요 사업인 어음발행 권한을 유지시킴으로써 자기자본 규모와 관계없이 어음을 계속 발행했다고 보고 있다.
증권사가 어음발행 인가를 받으려면 자기자본 4조원 이상을 갖춰야 하나 우리투자증권의 자본금은 1조1500억원에 불과하단 지적이다.
출범 초기부터 지주사를 둘러싼 리스크가 확산하며 업계에선 우리투자증권이 당초 제시한 5년 내 자기자본 3조원 이상 달성 등 중장기 계획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단 관측이 나온다.
조기 대형화로 가는 전제 조건인 지주사 지원과 추가 M&A가 난항에 부딪힐 가능성이 대두되며 자기자본 확충에 어려움이 예상된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우리투자증권은 지난달 출범식에서 자본 확충 전략으로 자체 이익 축적과 M&A를 통한 외양 확장 등 ‘투트랙 전략’을 제시한 바 있다.
남기천 우리투자증권 대표는 당시 “초대형 기업금융(IB)으로 가는 데 속도를 많이 단축 시켜주는 것이 M&A의 목표”라고 밝힌 바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우리투자증권이 후발 주자로서 사업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선 지주사 지원이 절대적인 상황”이라며 “우리금융그룹을 둘러싼 악재가 어떻게 흘러갈지가 관건”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