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초부터 신동아건설·대저건설 등 줄줄이 법정관리 신청
건설경기 침체 장기화…하도급 업체까지 연쇄 피해 눈덩이
정부 정책 실효성 떨어져, 국정 혼란에 법안 통과 기대감도 ‘뚝’
새해 들어서도 건설경기 침체 분위기가 좀처럼 누그러질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지난해 부도를 신고한 종합건설사는 29개사로 2019년 이후 5년 만에 가장 많은 수치를 기록했다. 해가 바뀌었지만 건설사들의 줄도산을 우려하는 목소리는 계속된다.
이달 초 시공능력평가 58위인 중견건설사 신동아건설은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다. 뒤이어 경남지역을 거점으로 사업을 전개하는 대저건설(시평 103위)도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최근 법원은 신동아건설의 회생절차 개시를 결정했다. 지난 2010년 워크아웃에 들어갔다가 9년 만인 2019년 11월에 졸업한 신동아건설은 5년여 만에 다시 법정관리 그늘 아래 놓이게 됐다.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공사비 급등, 수익성 악화, 미분양 증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등 건설경기 악화로 돈줄이 마른 탓이 크다. 자금 유동성이 악화한 건설사들이 버티다 버티다 결국 백기를 든 것이다.
그에 따른 연쇄 피해는 더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지난해 12월 전북지역 건설업체인 제일건설의 부도로 협력업체 100여곳은 200억원 규모의 막대한 피해를 입게 됐다.
원도급사가 경영난에 빠지면 영세한 하도급업체들은 더 휘청일 수밖에 없다. 문제는 이렇다 할 해결책이 묘연하단 점이다.
부동산경기 침체 분위기는 길어지고 탄핵 정국이 본격화하면서 정치적 불확실성까지 더해졌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이어지는 가운데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출범하면서 강달러 기조에 따른 수익성 악화는 배가될 우려가 커졌다.
그나마 자금 여력이 있는 대형건설사들은 해외시장 개척, 신사업 추진 등으로 자체 돌파구를 마련한다지만, 중소·중견건설사는 자구안을 마련하기도 버거운 실정이다.
그렇다고 정부의 정책 지원을 기대하기도 어렵다. 정부는 그동안 건설경기 회복을 위해 다양한 지원방안을 마련한 바 있다. 하지만 별다른 효과를 거두진 못하고 있다.
지방 미분양 해소를 위한 기업구조조정(CR) 리츠는 전혀 활성화되지 않고 있다. 공사비 현실화 방안은 관련 규정이나 내용이 구체적이지 않아 실효성이 떨어진단 지적이 나온다.
당초 올 1분기까지 건설사들의 책임준공 확약을 합리화하고 PF 수수료율을 조정하는 등 제도 개선 방안도 내놓을 계획이었으나, 국정 혼란으로 국회 논의는 기약이 없다.
국토부는 차질 없는 민생 현안 추진을 약속했으나, 부동산시장 활성화를 위한 법안 처리는 답보상태다.
건설업은 타 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상당하다. 1조원의 신규 건설투자 시 후방연쇄효과는 8600억원, 일자리 1만500개 창출 효과가 기대된다.
이에 따른 가계소득(5250억원) 및 민간소비(3400억원) 증가 등 연쇄적 파급효과가 큰 업종이다. 건설업이 흔들리면 우리 경제 전반에 영향이 불가피하다.
봄이 오기 전이 가장 시리고 춥다는 말이 있다. 겹겹이 악재로 건설업체들은 여느 때보다 시린 겨울을 나고 있다.
침체일로를 걷고 있는 건설업 재도약을 위해선 ‘차질 없는 정책 추진’이란 희망고문이 아니라 실효성 있는 연착륙 대책을 진지하게 고민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