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 매출 10% 증가...콘텐츠는 13% 줄어
올해 카나나, AI 메이트 등 B2C AI 서비스 출시
카카오는 연결기준 작년 한 해 영업이익이 4915억원으로 전년 대비 6.6% 증가했다고 13일 밝혔다. 같은 기간 매출은 7조8738억원으로 4.2% 늘었다.
티메프 사태로 발생한 카카오페이의 일회성 대손상각비를 조정할 시 연간 영업이익은 5230억원이다. 전년 대비 13.5% 증가한 수치다.
별도기준 연간 영업이익은 496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9% 줄었다. 카카오브레인 양수도로 지난해 6월부터 AI(인공지능) 사업 분야의 영업손실이 반영된 영향이다. 반면 매출은 2조5951억원으로 3.8% 성장했다.
작년 4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1조9591억원, 106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 33.7% 감소했다.
사업 부문별로 보면 작년 4분기 플랫폼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0% 늘어난 1조491억원으로 집계됐다. 플랫폼 부문 중 톡비즈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 증가한 5627억원을 기록했다. 모빌리티·페이 등이 포함된 플랫폼 기타의 매출은 22% 증가한 4031억원이다. 다음 등 포털비즈 매출은 6% 감소한 832억원으로 집계됐다.
콘텐츠 부문 매출은 9101억원으로 전년 동기와 비교해 13% 감소했다. 이 중 뮤직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6% 감소한 4702억원이다. 스토리 매출액 2030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5% 줄었고, 미디어 매출은 739억원으로 25% 감소했다.
카카오는 올해 카카오 생태계 내 다양한 형태의 B2C(기업과소비자간거래) AI 서비스를 선보일 계획이다. 오픈AI와의 협업이 진행되며, 카나나는 상반기 이용자 CBT(비공개베타테스트)를 거쳐 공개될 예정이다. 카카오톡 내 AI 메이트도 상반기에 정식 출시된다.
콘텐츠 부문의 경우 올해도 사업적 불확실성이 예상되는 만큼 재무 건전성 개선뿐 아니라 선택과 집중에 나설 계획이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올해 카카오는 새로운 서비스들을 순차적으로 선보일 예정”이라며 “카카오톡과 AI라는 핵심에 집중한 성장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