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율 적용, 실무진에겐 '헤라클레스급' 과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 관세 부과가 미국 내 경제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16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크리스틴 맥대니얼 조지메이슨대 선임연구원은 “관세가 미국 경제를 망칠 가능성이 있다”며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다른 국가들의 시장 개방을 이끌어낸다면 무역을 촉진할 여지도 있다”고 평가했다.
NYT는 “미국 수입 중 4분의 1 이상은 부품 및 원자재 등이 차지한다”며 “이들의 수입 가격이 상승하면 미국 기업들 경쟁력이 저하돼 미국 내 일자리가 위험에 처하게 된다”고 지적했다.
앞서 지난 13일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30년간 세계무역기구(WTO) 중심의 다자간 무역 관행에 큰 피해를 당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상호 관세 부과를 명령하는 각서에 서명하면서 “무역 교역국들의 관세, 비관세 장벽 등을 고려해 각기 다른 관세율을 적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국제무역 전문 변호사 테드 머피는 "모든 관세 분류 항목당 서로 다른 관세율이 존재할 수 있다"며 "이같은 복잡한 관세 집행은 실무진에게 '헤라클레스급' 과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전자산업 무역협회 IPC의 존 미첼 회장은 성명을 통해 “새로운 관세는 제조 비용을 증가시키고 시장에 큰 혼란을 야기할 것”이라며 “이는 결국 미국의 전자산업 기반을 더욱 약하게 만들 것이다”고 목소리를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