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 경제 경시했나…프레임"
"우클릭 아니라 원래 우리 자리"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앞으로 대한민국은 민주당이 중도보수 정권, 오른쪽을 맡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대표가 최근 조기 대선 정국을 겨냥해 상속세 개편 카드를 꺼내 들고, '주 52시간 예외' 조항을 두고 당내 논의를 하는 등 중도·보수 공략 행보를 이어가는 가운데 나온 발언이다.
19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재명 대표는 전날 저녁 특정 성향 유튜브 채널 '새날'에 출연해 "진보 진영은 새롭게 구축돼야 한다"며 "우리는 사실 중도보수 정도의 포지션을 실제로 갖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우리 보고 '우클릭'을 했다는 것은 프레임"이라고도 했다.
이 대표는 국민의힘을 향해선 "보수집단이 아니다"는 주장도 펼쳤다. 그는 "국민의힘을 보라. 헌정 질서 파괴에 동조하고 상식이 없다"며 "집권당이 돼서 정책을 내지를 않고 야당 발목 잡는 게 일"이라고 했다. 또 "보수는 건전한 질서와 가치를 지키는 집단인데, 그 건전한 질서와 가치의 핵이라는 헌정질서를 스스로 파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급기야 "오죽하면 (국민의힘을) 범죄정당이라고 하겠느냐"라며 "우리는 예외적으로 집권하는 게 아니라 제 자리를 찾는 과정이고, (민주당이 집권을 해야) 그래야 이 사회가 안정적으로 발전한다"고 말했다.
'가짜 우클릭 논란'에 연일 휩싸이는 것에 대해서도 "우클릭을 안했다"고 선을 그었다. 이 대표는 "원래 우리 자리에 있었던 것"이라며 "민주정권이 언제 경제를 경시했느냐. 우리 보고 우클릭을 했다는 건 프레임"이라고 반발했다.
그는 "성장을 해야 분배를 하지, 성장을 안하고 무슨 분배를 하느냐"라며 "다만 성장과 분배의 균형을 맞춰야 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지금은 이 사람들이 너무 망쳐놔서 경제 상황이 어려우니 경제에, 새로운 성장 동력 발굴에 조금 집중하겠다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 대표는 "새로운 성장 동력을 발굴하면 그 영역에서 최소한 지금보다는 기회도 공정하게, 결과의 분배도 공정하게 해서, 격차를 줄여서 희망 있는 세상을 만들자는 게 무슨 우클릭이냐"라면서 "말도 안 된다"고 재차 불쾌감을 드러냈다.